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다주택자 보유주택 중 중과세 제외되는 주택종류(보유주택 제외 주택)

✅ 다주택자 보유주택 중 중과세 제외되는 주택종류


다주택자의 보유주택이 중과세에서 제외되는 주택종류,즉 보유주택에서 제외되는 주택유형에 대해서 주택 보유수에 따른 유형별로 구분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다주택자의 보유주택에 따른 중과세 제외되는 사례가 많기에 회계,세무사도 요약정리 안하면 그 사례를 파악하기 힘들정도입니다. 그이유는 세무사도집권정권별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정책시행의 일환으로 시행된 조세감면 정책을 시행하기 때문에 세법과 달리 특례조항은 항시 정리해놓아 필요할 때 체크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다주택 중과제외주택

✅ 1세대 3주택이상자

1) 수도권,광역시,특별자치시(세종시)외의 지역(광역시,특별자치시 소속 군 및 읍,면지역 포함)의 양도 당시 기준시가 3억원 이하주택으로 보유주택 계산시에도 제외됩니다.

2)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등으로 등록하여 10년이상(2018년 03월 31이전등록 : 5년,/2018년 4월 1일~2020년 8월 17일 등록 :8년)임대한 주택

- 매입임대주택 : 6억원 이하(비수도권 3억원이하)주택,임대료 증가율 5%이하(2019년 2월 12일이후 임대차계약 갱신 또는 새로 체결하는 분부터 적용)

- 건설임대주택 : 대지가 298제곱미터이하,건물연면적 149제곱미터 이하,6억원이하 주택을 2채 이상임대하고 임대료 증가율 5%이하(2019년 2월 12일이후)임대차계약 갱신 또는 새로 체결하는 주택부터 적용합니다.
단,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중 아래의 주택은 제외됩니다(건설은 c만 해당)
a. 2018년 9월 14일이후 유주택자가 조정대상지역애서 취득한 임대주택
b. 2020년 7월 11일이후 임대등록을 신청한 아파트
c. 2020년 7월 11일이후 단기임대주택을 장기임대주택으로 변경신고한 임대주택

3) 조세특별법상 수용감면 대상(법 77조),감면대상 주택[장기임대주택(법97조의 20],미분양주택등(법 98조!98조의 3,98조의 5~98조의 8),신축주택(법99조~99조의 3)

4) 10년이상 무상제공한 장기사원용 주택

5) 상속받은 주택(5년이내 양도)

6) 5년이상 운영한 가정어린이집 등

7) 문화재주택

8)  저당권 실행 또는 채권변제를 위해 취득한 주택(3년이내 양도)

9) 상기 1)~8)의 주택외에 1개의 주택만을 소유하는 경우의 해당주택

10) 조정대상지역 지정전 매매계약 체결후 계약금을 지급받는 경우

☑ 보유기간이 10년 이상인 주택을 2019년 12월 17일부터 2020년 6월 30일까지 양도하는 경우

☑ 1세대 1주택 비과세 특례대상주택(등록임대사업자의 거주주택 등)이 대체주택취득으로
일시적으로 3주택 이상이 된 경우 해당 특례주택

하남시 빌라주택

✅ 1세대 2주택자


1) 3주택 이상자의 중과제외대상 주택(장기임대주택 등)

2) 수도권,광역시,특별자치시(세종시)외의 지역(광역시,특별자치시 소속 군 및 읍,면지역 포함)의 양도 당시 기준시가 3억원 이하 주택로 보유주택 수 계산시에도 제외됩니다.

3) 취학,근무상 형편,질병 요양등의 사유로 취드한 수도권 밖 주택 및 다른 시,군,소재 주택(취득당시 기준시가 3억원이하,취득 후 1년이상 거주하고 사유 해소 후 3년이내 양도)

4) 혼인합가일로부터 5년 이내 양도하는 주택

5) 부모봉양합가일로부터 10년 이내 양도하는 주택

6) 소송진행중인거나 소송결과에 따라 취득한 주택(확정판결일로 부터 3년 이내 양도)

7) 일시적 2주택인 경우 종전주택

8) 양도 당시 기준시가 1억원 이하 주택("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상 정비구역 내 주택은 제외)

9) 상기 1)~6)의 주택이외에 1개의 주택만 소유한 경우

10) 조정대상지역 지정전 매매계약 체결 후 계약금을 지급받은 경우

11) 보유기간이 10년이상인 주택을 2019년 12월 17일로 부터 2020년 6월 30일까지 양도하는 경우

12) 상속받은 주택과 일반주택을 각각 1개씩 소유하고 있는 1세대가 일반주택을 양도하면서 1세대 1주택 요건을 충족하는 주택

13) 장기임대주택과 거주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1세대가 거주주택을 양도하는 경우로서 1세대 1주택 요건을 충족하는 거주주택

✅ 1세대 1주택 1조합원 또는 분양권 보유자

수도권 외 지역(광역시 소속 군 및 읍,면 지역은 포함)의 주택,조합원입주권 또는 분양권으로서 3억원 이하인 경우는 주택,조합원입주권 또는 분양권의 수 계산시 산입하지 않습니다.

1) 2주택자의 중과 제외 주택으로서 아래 1)~6)및 8)항에 해당하는 주택

2) 1주택자가 주택 취득일로 부터 1년 경과 후 1조합원입주권 또는 분양권을 취득하고 3년이내 종전주택 양도시 해당주택

3) 1주택자가 1조합원입주권 또는 분양권을 취득하고 3년이 경과하여 종전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해당주택(다음요건 충족시)
- 재건축,재개발로 취득하는 주택 또는 분양권에 따라 취득하는 주택의 완공 후 2년 이내 세대전원이 해당 주택으로 이사하여 1년 이상 거주
- 주택완공 후 2년 이내 종전주택 양도

4) 1주택자가 해당 주택의 재개발,재건축으로 대체주택을 취득하였다가 양도하는 경우 해당주택(다음요건 충족시)
- 사업시행인가일 이후 대체주택을 취득하여 1년이상 거주
- 재개발,재건축사업으로 취득하는 주택의 완공후 2년 이내 세대 전원이 해당 주택으로 이사하여 1년이상 거주
- 주택 완공 후 2년 이내 대체주택 양도

5) 조정대상지역 지정전 매매계약 체결 후 계약금을 지급받는 경우

6) 보유기간이10년이상 주택을 2019년 12월 17일부터 2020년 6월 30일까지 양도하는 경우
                                                                                     (자료참조 : 삼인세무회계)


https://jonsewose.blogspot.com/2021/05/blog-post_14.html (농지의 비과세 특례조건)



https://jonsewose.blogspot.com/2021/05/blog-post_20.html(개정 취득세,상속세,증여세율 정리)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합격운 사주,합격운 보는 방법

합격운 사주,합격운 보는 방법 많은 입시생,고시생,취업 준비생들 뿐만 아니라 중년이후 보다나은 노후준비를 위한 자격증을 취득을 준비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많은 경쟁자를 물리치고 선택받는 합격증은 단순히 노력만 의해서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 합격운에 의해 결정되는 것입니다. 그이유는 실기(필기)성적은 객관적인 데이터에 의해 성적순으로 필기합격자로 선발하지만, 필기이후 면접은 면접관의 주관적인 평가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즉 일면식 없는 면접관의 마음을 나에게 옮기게 하는 운의 흐름을 합격운이라 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합격운 사주와 합격운 사주를 보는 방법에 대해 알기쉽게 설명하였습니다. ✅ 내사주 합격운 판별 방법 본인 사주팔자 구성에서 시험운,합격운에 유리한 사주판별 항목으로는 십성의 조합,십이운성 및 신살종류를 구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합격운 사주예시(표1)] 첫째, 십성의 조합 확인 ① 정인,정관 : 정인과 정관의 조합 ② 편인,편관 : 편인과 편관의 조합 ③ 식신,정재 : 식신과 정재의 조합 ④식신,편관 : 식신과 편관의 조합등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이중 가장 합격운에 유리한 조합은 정인과 정관이 본인 사주에 있을 경우에는 시험날짜와 관계없이 사주구성에 특별한 이상이 없는 한 공개채용에 유리한 합격운 사주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본인 사주팔자내의 십성,신살,십이운성 종류를 파악하려면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무료사주풀이 또는  무료만세력 웹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그림1과 같은 만세력 화면이 출력되어 누구나 쉽게 확인가능합니다 . 둘째, 십이운성 종류파악  십성이외에도 본인 사주팔자에 십이운성중  관대,건록,제왕,장생이 있는 경우나 해당 십이운성을 만나는 운(세운,년운)이 합격운이 되는 것입니다. 셋째, 합격에 도움이 되는 신살파악 사주에는 시험에 도움이 되는 신살과 공부에 도움이 되는 신살이 있습니다. 학당귀인은 공부를 좋아하고 공부에 전념하는 신살이나,공부를 잘한다고 합격운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서,...

시주에 정재,편재가 있을경우 사주특성

 ✅시주에 정재,편재가 있을경우 사주특성 년월일시등 4개기둥으로 표현되는 사주팔자(四: 넉 사,柱: 기둥 주,八: 여덟 팔,字: 글자 자)에서 말년,자식운을 의미하는 시주(時柱)에 정재,편개가 있을 경우 나타나는 사주특성과  정재,편재外 정관,편관,식신,상관등 기타 십성이 위치할 경우 나타나는 사주특 성에 대하여 알기쉽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 사주팔자에서 재물을 나타내는 편재와 정재의 의미 사주에 재물을 나타내는 십성인 재성(財星)인 정재(正財),편재(偏財)가 기본적으로 하나정도 있어야 재물운이 있습니다. 사주상담사들이 재성이 없어도 재물을 모으는데 문제가 없다고 말을하지만 이는 상담자를 위로 또는 격려하려는 말일뿐 실제적으로는  살아가는데 정재,편재등의 재성이 없다는 것은 출생부터 남들보다 불리하게 시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말해서 사주팔자에 재성(편재,정재)가 있는 사람은 부모로 부터 토지,아파트등 유산을 받아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것인반면 재성이 없는 사람사주의 경우는 부모의 경제적 도움없이 스스로 돈을 모으거나 대출받아 아파트를 마련하여 힘들게 살아가는 경우입니다. * 무료 만세력설치 사주초보자의 경우 '사주기초용어'나 본인 사주팔자내에 있는 십성,12신살,오행에 대해 쉽게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무료 만세력' 또는 '무료 사주풀이'를 검색하여 다운받아 설치하여 본인의 '생년월일시'를 입력하면 아래 그림1-1과 같은 만세력화면이 나오며 이를 통해 사주초보자도 쉽게 본인 사주팔자에 있는 십성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시지에 편재가 있을경우 사주예시(그림1-1)] ✅ 십성의 위치에 따른 사주특성 사주분석에서 중요한 판단요소인 십성 또는 십신으로 불리는 십성은 우리사주환경에서 열가지 서로다른 사주환경을 제공하며 우리의 사주팔자의 4개기둥 즉,년주,월주,일주,시주 어느곳에 위치하는가에 따라서 같은 십...

대운보는 방법,대운에 정관,편관이 들어왔을 때 사주특성

대운보는 방법,대운에 정관,편관이 들어왔을 때 사주특성 사주팔자를 보는 방법은 선천적인 사주인 사주팔자원국(천간4글자+지지4글자)과  후천적인 운의 흐름인 대운,년운,월운등 삶의 기간별 시기에 따른 운의 흐름인 행운(行運)의 조합으로 운명을 판단합니다. 우리가 흔히 제일 궁금해하는 질문, 즉 "언제 돈을 벌 수 있는가?" 또는 "언제 결혼을 할 수 있는가?"의 기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은 사주팔자원국을 기초로 하고 10년마다 주기적으로 오는 가장 큰 운의 흐름인 대운(大運)과 년마다 주기적으로 오는 년운,세운으로 불리는 년운(年運),달마다 달라지는 월운(月運)등의 행운을 분석하여 답을 찾는 것입니다. 본 포스팅은 사주초보자도 무료사주풀이 앱을 통한 사주기초용어 대한 개념만 이해해도 누구나 본인사주 대운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알기쉽게 기술 하였습니다. 사주풀이 화면예시/천을귀인(표1-1) * 본 포스팅의 이해를 돕기위해 구글 플레이스토어 마켓에서 '무료사주풀이' 또는 '무료만세력풀이'앱을 다운받아 설치하시고 본인의 생년월일시를 입력하시면 본인 사주원국과 대운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 대운의 의미와 특성,무속인에게 속지 않는 방법 본 포스팅을 통해 무료사주풀이 앱을 기본적으로 활용할 줄 안다면 대운을 빙자한 무속인들의 눈속임에 속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대운의 뜻과 특성 대운의 한자구성은 大(클 대),運(운명 운)의 두글자로 이루어져 '큰 운명'이라고 자의해석되나 여기서 크다는 것은 해마다 돌아오는 년운(年運),달마다 돌아오는 월운(月運)등 행운중에서 가장 기간이 긴 운을 말하는 것으로 크다는 의미보다는 '기간이 길다'는 의미로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運(운)이라는 글자가 운명 운,운 운의 뜻으로 된 연유는 運의 글자를 풀어보면 군대 군(軍)과 받침 변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군마(군대)의 움직임은 전쟁터에서 작전을 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