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운성과 12신살 차이점,12운성 활용방법 사주명리학을 공부하다 보면 12운성(十二運星)과 12신살(十二神煞)이라는 사주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이 두가지 개념은 오행(五行),십신(十神,十星)과 더불어 운(運)을 해석하는 대 중요한 사주분석 도구이지만, 그 의미와 활용법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12운성과 12신살의 운의 해석 접근방법의 차이점을 알기쉽게 알아보고,십이운성을 실전 사주분석에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2운성과 12신살 개념이해 12운성과 12신살의 차이점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두 개념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이해를 알아야 합니다. ✔ 12운성(十二運星)이란? 12운성은 천간(天干)의 기운이 12지지(地支)를 만났을 때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마치 사람이 성장하고 쇠퇴하여 소멸하는 생로병사(生老病死) 과정과 같이,천간의 기운도 마찬가지로 12단계를 거치면서 변화한다는 개념으로 만들어진 사주명리학 운명간명 기법중 한 분야입니다. 12운성의 한자구성을 직역하면 '태양계를 도는 8개의 행성(수성,금성,지구,화성,목성,토왕성,천왕,해왕성)과 왜소행성 4개'이라는 뜻으로, 태양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12개행성도 태어나면서 성장하고 소멸하는 과정을 거치듯이 사람의 인생도 생로병사의 12단계를 거치게 된다는 명리학적 개념입니다. 즉,12운성의 기본 개념은 '모든 만물은 태어나고 생겨나면서 흥하고 쇠퇴하는 12단계 과정을 거치면서 순환한다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12운성 12단계 : 생(生: 태어날 생)-욕(浴: 목욕할 욕)-관대(官帶)-건록(建祿)-제왕(帝王)-쇠(衰: 쇠할 쇠)-병(病: 병들 병)-사(死: 죽을 사)-묘(墓:...
국내여행(서울근교,수도권),사주여행(초보자 위주)을 테마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