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5월 20, 2025의 게시물 표시

(알기쉬운)육신의 상극관계

 (알기쉬운)육신의 상극관계 육신(십성,십신)은 상호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을 통해 사주환경의 조화와 균형을 유지합니다. 사주를 처음 공부하시거나 사주에 관심있는 분들에게 육신의 상생상극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육신의 상극상생관계중 상극관계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 육신의 개념이해  사주명리학에서 말하는 육신(六神)이란 육친(六親),십성(十星),십신(十神)이라고 불립니다. 육신이 십성 또는 십성으로 불리는 이유는 사주환경에서 작용하는 열가지 서로다른 사주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육신(십성)의 종류에는 비견,겁재,식신,상관,편재,정재,정관,편관,정인,편인 등 열가지 사주요소가 있습니다.  한편 육신은 목,화,토,금,수 오행과 마찬가지로 서로 상생과 상극작용을 하게 됩니다. ✅ 육신의 상극작용 만일 본인 일간이 금(金)오행이라면, 비견 ,겁재(金)→편재,정재(木)→편인,정인(土)→식신,상관(水)→편관,정관(火) 즉, 금(金,도끼.톱 등)이 목(木)을 극하고 토가 물(수)을 흐리며 물(水)은 불(火)을 끄는 자연원리로 육신은 상극과 상생이라는 상호작용을 하게됩니다. 비견(比肩)은 친구,동료,동업자를 의미하여 비견이 많다면 제한된 재물을 서로 분배하여야 하는데,  자기몫이 비견 숫자만큼 그만큼 줄어드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재물을 뜻하는 재성(편재,정재)를 극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재성(財星)중 편재(偏財)는 육친(六親)적 의미에서 남녀공통으로 아버지에  해당하므로 일간(비견,겁재)인 자식인 내가, 아버지의 노력으로 만든 재력으로 성장하고 독립하는 원리로 '비견이 편재를 극하는 것입니다'. 또한 편재는 편인을 극하는 데 편재는 육친적으로 아버지이고 인성(편인,정인)은 어머니를 뜻하기 때문에, 집안에서 아버지가 어머니를 극한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요즘은 부인이 남편을 달달볶는 시대이지만 명리학이 만들어진 시대는 남성우월주의 시대였기 때문에 편재가 편인을 극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생각과 잡념이 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