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사주 식신,식신의 사주특성과 운의 해석

 사주 식신,식신의 사주특성과 운의 해석

우리의 사주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십신(十神) 또는 십성(十星)이라고 불리는 십신중에서 식신의 사주구성원리 및 사주특성과 사주환경에서의 역할에 대해 사주초보자의 눈높이로 알기쉽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본 포스팅을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이해서는 '본인 사주에 어떤 십신이 있는지 모르는 분이나 철학관에서 본인 사주에 어떤 십신이 있더라'고 듣고 본인이 사주기초용어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무료만세력' 또는 '무료사주풀이'를 검색하시고 평점이 높은 순의 앱을  선택후, 다운받아 설치하시면 아래 표1-1과 같은 만세력화면이 나옵니다.

식신이 많은 사주

[식신이 많은 사주예시[표1-1]/만세력 천을귀인]

* 표1-1의 사주에시는 년주와 일지에 식신이 있는 사주예시입니다. 사주팔자라는 것은 4개의 기둥 즉, 사람의 태어난 년,월,일.,시를 기준으로 분류한  년주(年해 년,柱:기둥 주),월주(月:달 월,柱:기둥 주),일주(日:날 일,柱:기둥 주),시주(時:때 시,柱:기둥 주)로 구분된  각 기둥마다 두개의 글자가 배치되어 총8글자가 모든 사람에게 각기 다른 글자가 주어진 것을 말합니다.


오행의 색상구분과 십신의 종류

표1-1에서 보면 글자마다 각기다른 색상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사주명리학에서는 목,화,토,금,수의 5가지 오행을 각각의 색상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즉 木오행은 봄,새싹,나뭇잎을 표현하여 녹색,火오행은 여름을 의미하여 태양,열,정열,꽃을 의미하여 붉은 색으로,土오행은 환절기,땅의 황토색을 의미하여 황색,金오행은 가을,광석,금속의 흰색을 의미하여 백색으로 표현하고,水오행은 겨울,밤,휴식,빛이 없는 깊은 물을 표현하여 검정색으로 각기 표현하고 있습니다.

십신(十神)의 종류

열가지 서로다른 사주특성을 나타내는 십신의 종류에는 비견,겁재,식신,상관,편재,정재,정관,편관,정인,편인등이 있으며, 십신은 대분류로  사주구성상 비슷한 것끼리 두개씩 짝을 비견,겁재를 비겁,식신,상관을 식상,정재,편재를 재성,정관,편관을 관성,정인,편인을 인성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식신의 사주구성원리 


십신중 식상이라고 분류되는 식신,상관은 일간인 내가 부양해야하는 아랫사람(식솔)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사주구성상 일간이 내가 생하는 오행을 식상이라고 하며 표1-2,표1-3과 같이 일간인  내가 생하는 오행으로 나와 음양이 다르면 상관,음양이 같으면 식신으로 구분됩니다.

* 식상(食傷)의 어원

식신의 식신(食: ,神:신령 신)과 상관(傷:상처줄 ,官: 벼슬 관)의 한자 앞자리를 따서 식상(食傷)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사주 상관의 사주구성원리

* 표1-2에서 일간인 계수(癸,수오행,음(-)의 성질)가 인목(寅,목오행,양(+)의 성질)을 생해주며(수생목:水生木,나무에게 물이 도움이 되는 원리) 음양이 서로 다르므로 상관에 해당되는 것입니다.
사주 식신의 사주구성원리


* 표1-3에서 일간인 계수(癸,수오행,(-)의 성질)가 묘목(卯,목오행,음(-)의 성질)을 생해주며(수생목:水生木,나무에게 물이 도움이 되는 원리) 음양이 서로 같으므로 식신에 해당되는 것입니다

 식신의 사주특성(식신과 상관의 사주특성 비교)

식신과 상관은 일간인 내가 생해주는 오행이라는 사주특성이 공통적으로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심리적측면에서 식신과 상관은 서로다른 특성을 아래와 같이 가지고 있습니다

✔ 식신은 긍정적인 사고를 가지고 한가지 일에 집중함으로 일에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있으나, 상관은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한가지 일에 집중 못하고 금방 싫증을 내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식신은 한자구성으로만 보아도 밥 식(食),신령 신(神)으로 식신을 모르는 사람도 '식신이 사주에 있으면 밥은 굶지는 않겠구나'라고 유추되듯이 식신은 사주에서 길신(吉神)으로 작용합니다

✔ 반면,상관은 한자구성으로 보면 상처줄 상(傷),벼슬 관(官)으로 '관을 해치는 형상'으로 흉신(凶神)에 해당합니다. 사주에서  말하는 관(官)이란 '관공서,직업,직장,국가,벼슬,관직'을 말하는 데 내가 스스로 관에 해를 끼치고 깨뜨리는 형상으로 사주 상관은 자주 직장을 옮기고 직장상사,국가,조직의 불합리함을 보고만 있지는 않습니다.

✔ 사주 상관은 야당기질을 가지고 있으며 식신은 정치와 무관하게 오직 본인 식솔을 잘먹여 살릴 궁리만 합니다.

✔ 사회에 있어서 상관사주는 사회부조리를 개선하고,정치적 부패를 고치는 특성을 가진 사주이나 가정의 부인입장에서는 돈안되는 일에 휘말리고 제대로 생활비를 갖다주지 않는 무능한 남편으로 되어 남자사주로는 좋지 않습니다.

✔ 여자사주에 있어서 상관은 똑똑하고 튀는 여성으로 남편을 가르치려하고 시시한 남자는 쳐다보지 않는 오만함으로 자신이 가장이 되거나 부부관계에서 원만하지 못한 상태를 만듦니다.

사주에 식신이 있을 경우 사주특성,운의 해석


십신 식신은 육친(나와 관련된 친족과 친구)관점에서 보면 장인,장모,조카 및 손자를 의미하고,여자사주에서는 손자,친정의 조카,본인 자식을 의미합니다.

식신은 기본적으로 의식주가 풍족하고 생활이 윤택함을 의미합니다.육체적으로도 식신사주는 풍채가 보통사람보다 크고 화통하며 이웃사람들에게도 좋은 사람입니다.

✔ 사주 식신은 비견(比肩)을 만나면 식신의 힘이 강해지지만 반면 편인(偏印)을 만나면 부정적인 상관의 특성이 나타납니다. 

✔ 사주에 식신이 2개이상 많으면 자식복이 없으며,여자사주의 경우는 이성에 대한 지나친 관심으로 남편과 이별을 하거나 불륜에 빠지기 쉽습니다.

✔ 여자사주에 식신이 많고 편관이 없으면 산액이 있거나 자식을 둘 수 없거나 허약체질입니다.

✔ 사주에 식신이 많으면 오히려 좋지 않고 식신이 하나이고 일지에 정관이 있으면 재물복과 관복이 있는 좋은 사주입니다.

✔월주에 식신이 있고 시주에 정관이 있으면 직업운이 좋으며,공직에 진출시 고위직까지 오를 수 있습니다.

✔ 사주에 식신이 있고 편인이 없으면 사는 동안 재물을 도난당하지 않습니다.

✔ 월지에 식신이 있으면 사주가 신강하면 골격이 크고 성격도 화통합니다.



* 무료사주풀이 및 사주기초용어 관련 포스팅을 더 보시려면 아래글을 참조바랍니다.


(사주 비견,사주 비견의 사주특성과 사주보완방법)

(무재성 사주,사주에 편재,정재가 없는 경우 사주특성)

(배우자 복,배우자 운 파악하는 쉬운 방법)

(사주 겁재,사주 겁재의 사주특성과 사주보완방법)

(일지 편인,일지에 편인이 있는 여자사주특징)

(결혼운,결혼하면 손해보는 여자사주특징)

(시주에 정재,편재가 위치할 경우 사주특성)

(사주위치에 따른 상관특성과 사주보완방법)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합격운 사주,합격운 보는 방법

합격운 사주,합격운 보는 방법 많은 입시생,고시생,취업 준비생들 뿐만 아니라 중년이후 보다나은 노후준비를 위한 자격증을 취득을 준비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많은 경쟁자를 물리치고 선택받는 합격증은 단순히 노력만 의해서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 합격운에 의해 결정되는 것입니다. 그이유는 실기(필기)성적은 객관적인 데이터에 의해 성적순으로 필기합격자로 선발하지만, 필기이후 면접은 면접관의 주관적인 평가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즉 일면식 없는 면접관의 마음을 나에게 옮기게 하는 운의 흐름을 합격운이라 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합격운 사주와 합격운 사주를 보는 방법에 대해 알기쉽게 설명하였습니다. ✅ 내사주 합격운 판별 방법 본인 사주팔자 구성에서 시험운,합격운에 유리한 사주판별 항목으로는 십성의 조합,십이운성 및 신살종류를 구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합격운 사주예시(표1)] 첫째, 십성의 조합 확인 ① 정인,정관 : 정인과 정관의 조합 ② 편인,편관 : 편인과 편관의 조합 ③ 식신,정재 : 식신과 정재의 조합 ④식신,편관 : 식신과 편관의 조합등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이중 가장 합격운에 유리한 조합은 정인과 정관이 본인 사주에 있을 경우에는 시험날짜와 관계없이 사주구성에 특별한 이상이 없는 한 공개채용에 유리한 합격운 사주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본인 사주팔자내의 십성,신살,십이운성 종류를 파악하려면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무료사주풀이 또는  무료만세력 웹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그림1과 같은 만세력 화면이 출력되어 누구나 쉽게 확인가능합니다 . 둘째, 십이운성 종류파악  십성이외에도 본인 사주팔자에 십이운성중  관대,건록,제왕,장생이 있는 경우나 해당 십이운성을 만나는 운(세운,년운)이 합격운이 되는 것입니다. 셋째, 합격에 도움이 되는 신살파악 사주에는 시험에 도움이 되는 신살과 공부에 도움이 되는 신살이 있습니다. 학당귀인은 공부를 좋아하고 공부에 전념하는 신살이나,공부를 잘한다고 합격운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서,...

시주에 정재,편재가 있을경우 사주특성

 ✅시주에 정재,편재가 있을경우 사주특성 년월일시등 4개기둥으로 표현되는 사주팔자(四: 넉 사,柱: 기둥 주,八: 여덟 팔,字: 글자 자)에서 말년,자식운을 의미하는 시주(時柱)에 정재,편개가 있을 경우 나타나는 사주특성과  정재,편재外 정관,편관,식신,상관등 기타 십성이 위치할 경우 나타나는 사주특 성에 대하여 알기쉽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 사주팔자에서 재물을 나타내는 편재와 정재의 의미 사주에 재물을 나타내는 십성인 재성(財星)인 정재(正財),편재(偏財)가 기본적으로 하나정도 있어야 재물운이 있습니다. 사주상담사들이 재성이 없어도 재물을 모으는데 문제가 없다고 말을하지만 이는 상담자를 위로 또는 격려하려는 말일뿐 실제적으로는  살아가는데 정재,편재등의 재성이 없다는 것은 출생부터 남들보다 불리하게 시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말해서 사주팔자에 재성(편재,정재)가 있는 사람은 부모로 부터 토지,아파트등 유산을 받아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것인반면 재성이 없는 사람사주의 경우는 부모의 경제적 도움없이 스스로 돈을 모으거나 대출받아 아파트를 마련하여 힘들게 살아가는 경우입니다. * 무료 만세력설치 사주초보자의 경우 '사주기초용어'나 본인 사주팔자내에 있는 십성,12신살,오행에 대해 쉽게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무료 만세력' 또는 '무료 사주풀이'를 검색하여 다운받아 설치하여 본인의 '생년월일시'를 입력하면 아래 그림1-1과 같은 만세력화면이 나오며 이를 통해 사주초보자도 쉽게 본인 사주팔자에 있는 십성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시지에 편재가 있을경우 사주예시(그림1-1)] ✅ 십성의 위치에 따른 사주특성 사주분석에서 중요한 판단요소인 십성 또는 십신으로 불리는 십성은 우리사주환경에서 열가지 서로다른 사주환경을 제공하며 우리의 사주팔자의 4개기둥 즉,년주,월주,일주,시주 어느곳에 위치하는가에 따라서 같은 십...

대운보는 방법,대운에 정관,편관이 들어왔을 때 사주특성

대운보는 방법,대운에 정관,편관이 들어왔을 때 사주특성 사주팔자를 보는 방법은 선천적인 사주인 사주팔자원국(천간4글자+지지4글자)과  후천적인 운의 흐름인 대운,년운,월운등 삶의 기간별 시기에 따른 운의 흐름인 행운(行運)의 조합으로 운명을 판단합니다. 우리가 흔히 제일 궁금해하는 질문, 즉 "언제 돈을 벌 수 있는가?" 또는 "언제 결혼을 할 수 있는가?"의 기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은 사주팔자원국을 기초로 하고 10년마다 주기적으로 오는 가장 큰 운의 흐름인 대운(大運)과 년마다 주기적으로 오는 년운,세운으로 불리는 년운(年運),달마다 달라지는 월운(月運)등의 행운을 분석하여 답을 찾는 것입니다. 본 포스팅은 사주초보자도 무료사주풀이 앱을 통한 사주기초용어 대한 개념만 이해해도 누구나 본인사주 대운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알기쉽게 기술 하였습니다. 사주풀이 화면예시/천을귀인(표1-1) * 본 포스팅의 이해를 돕기위해 구글 플레이스토어 마켓에서 '무료사주풀이' 또는 '무료만세력풀이'앱을 다운받아 설치하시고 본인의 생년월일시를 입력하시면 본인 사주원국과 대운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 대운의 의미와 특성,무속인에게 속지 않는 방법 본 포스팅을 통해 무료사주풀이 앱을 기본적으로 활용할 줄 안다면 대운을 빙자한 무속인들의 눈속임에 속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대운의 뜻과 특성 대운의 한자구성은 大(클 대),運(운명 운)의 두글자로 이루어져 '큰 운명'이라고 자의해석되나 여기서 크다는 것은 해마다 돌아오는 년운(年運),달마다 돌아오는 월운(月運)등 행운중에서 가장 기간이 긴 운을 말하는 것으로 크다는 의미보다는 '기간이 길다'는 의미로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運(운)이라는 글자가 운명 운,운 운의 뜻으로 된 연유는 運의 글자를 풀어보면 군대 군(軍)과 받침 변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군마(군대)의 움직임은 전쟁터에서 작전을 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