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을미일주,을미일주 사주특성과 사주보완

을미일주 사주특성과 사주보완

을미일주의 물상은 '황량한 사막에서 힘겹게 살아가는 선인장 '
또는 '메마른 초원에서 노니는 새끼 양(羊)','황무지에 뿌리내린 메마른 나무'로서 환경적응력이 뛰어난 대표적인 일주입니다.

을미일주 이미지
\

✅ 을미일주 사주구성

을미일주(乙未日柱)를 구성하는 십성(十星,十神) 및 십이운성(十二運星),신살(神煞) 종류별 사주특성을 알아보면 쉽게 을미일주의 드러나는 사주특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을미일주

[을미일주 사주구성도(표1)]

☞ 을미일주 십성종류 및 사주특성

- 을미일주는 천간글자 을목(乙)과 지지글자 미토(未)로 구성된 일주로서,

지지글자 일지의 미토(未)는 일간 을목(乙)에게 극을 당하고 음양오행이 같으므로 편재(偏財)에 해당합니다.

또한 지지글자 미토에 숨겨진 천간(天干)글자는 정화(丁),을목(乙),기토(己)로서 십성중 식신(食神),비견(比肩),편재(偏財)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을미일주에 영향을 주는 십성은 주로 의식주를 해결하는 경제활동에 도움을 주는 십성종류인 식신과 편재와 자기주장을 내세울 수 있는 비견으로,

을미일주는 부지런하고 자기주장이 강하며 생활력이 강하며 재물에 대한 집착이 강한 일주임을 알 수 있습니다.

✔ 십이운성의 종류 및 사주특성

사람의 인생주기(생로병사)를 12단계로 분류하여 단계별 사주특성을 판단하는 사주기법인 십이운성중 을미일주에 해당하는 십이운성은  관대(官帶),양(養:기를 양)으로,

관대(官:벼슬 관,帶:띠 대)는 청년이 학교를 졸업하고 첫직장에 들어간 사회초년생의 인생주기를 말하며 '겁이 없고 의욕이 앞서지만 실수연발인 상태'를 말합니다.

* 관대라는 명칭은 예전 관직에 진출할때 관복(사모관대)을 의미하여 부모슬하의 청소년에서 벗어나 첫 직장 사회진출하는 청년을 말하는 것입니다.

양(養:기를 양) : 십이운성 양의 인생주기는 태아가 뱃속에서 어머니의 양수속에서 보호받으며 보살핌을 받는 상태를 말하며,
현실에서는 부모와 타인의 보호와 도움을 받는 사주환경을 의미합니다

✔ 을미일주 신살종류 및 사주특성

을미일주 지지의 미토(未)는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간절기인 음력 7월에 해당하는 건조하고 뜨거운 흙에 해당하며,해당되는  신살에는 백호살,신병살,단장관,곡각살이 있습니다. 

① 백호살(白: 백,虎:호랑이 호,煞:신살 살) : 백호살이란  '흰색호랑에 의해 화를 입게된다'는 흉살(凶殺)로서 '백호대살'이라고 합니다.

백호살 사주특성은 주로 각종 사고에 노출되어 피를 보게 되거나 단독생활을 하는 호랑이 습성처럼 성격이 과격하며  폭력적이며 고독하며,삶이 일반인 사주와 달리 거칠고 드라마틱합니다. 

②신병살(身: 신,病:질병 병,煞:신살 살): 신병살을 구성하는 한자구성에서 보듯이 살아가는 동안 잔병치레를 하여 늘 몸이 아프다는 신살입니다.

③ 단장관(斷:끊을 단,腸:창자 장,關:빗장 관) : 잔장관은 소장,대장등 주로 내장기관 관련하여 질병이 자주 발생한다는 흉살입니다.

④ 곡각살(曲:굽을 곡,角: 각,煞:신살 살) : 곡각살이 사주에 있으면 사고나 신경통에 노출으로 손,다리등 관절이 휘어지거나 골절살등을 입을 수 있다는 신살입니다.


✅ 을미일주 사주특성

을미일주의 지지글자 미토(未)는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뜨겁고 물기가 없는 건조한 땅으로 더이상 식물들이 생존하기 힘든 땅이므로,

을미일주는 을목(乙)일간 일주중 가장 생활력이 강합니다.

- 을미일주는 건조한 초원에 있는 천적이 항상 노리는 어린양의 모습으로 타인에 대한 경계심이 높으며,경제활동을 위해 분주히 움직이는 특성이 있습니다.

초원에 노니는 양모습

- 을미일주는 여유가 없으머 성급하며,양처럼 평소에 순하고 잘 참다가 한번 화가나면 한꺼번에 폭팔하는 성향이 있습니다.

- 을미일주 사주보완은 매사 서두르지않고 침착하고,기다려야 좋은 운(運)이 들어옴을 명심해야 합니다.

- 을미일주의 물상중 하나가 '억새밭에 억새'모습으로 일관성이 없고 실리에 따라 움직이는 성향이 있습니다.

- 을미일주는 역마기질이 있어 산과 들로 돌아다니지 않으면 몸이 아프게 됩니다.

- 을미일주는 일지에 수기가 없음으로 인해  조울증,우울증이 심하며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을미일주는 황량한 사막에서 자라나야 하는 초목으로 남녀공히 소년소녀 백발(白髮)현상이 있으며 당뇨나 유산(낙태)의 질병에 쉽게 노출됩니다.

- 을미일주는 '물기(水)가 바싹마른 땅의 갈대밭'으로 타인에게 들은 비밀을 쉽게 전파하며,약속을 잘 지키지 않는 습성이 있습니다.

- 을미일주는 재성(재물복)이 발달하여 열심히 돈을 벌며 재물을 모으는 데 악착스럽습니다.

그러나 부부,자식등 인간관계등은 좋지않으며 이로인한 다툼이나 사건,사고등에 노출됩니다.

- 을미일주는 일찍 고향을 떠나 자수성가해야 하는 특성을 가집니다.

- 을미일주는 처세술은 좋으나 지속성과 일관성이 없어 일을 그릇치게 되므로 조심해야 됩니다.

- 을미일주는 머리가 좋고 재주가 많아 십성 식신을 발휘하여 학문,예술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합니다.

- 을미일주는 부친으로 부터 일찍 재산을 물러받을 수 있으나 부친과의 인연이 부족하여 부친과 일찍 사별할 수 있습니다.

특히 행운에 술토나 축토가 들어오는 해에 부친과 일찍 사별하는 가능성이 높습니다.

* 을미일주 사주보완


을미일주는 물기(水)가 부족한 일주로서 사주팔자 구성에서 물기를 의미하는 수(水)오행의 여부를 파악해야 합니다.

즉 을미일주에게 좋은 오행은 수(水)오행이므로 사주팔자에 수가 없다면 수가 있는 사람과 인연을 맺는 것이 최선의 사주보완방법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합격운 사주,합격운 보는 방법

합격운 사주,합격운 보는 방법 많은 입시생,고시생,취업 준비생들 뿐만 아니라 중년이후 보다나은 노후준비를 위한 자격증을 취득을 준비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많은 경쟁자를 물리치고 선택받는 합격증은 단순히 노력만 의해서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 합격운에 의해 결정되는 것입니다. 그이유는 실기(필기)성적은 객관적인 데이터에 의해 성적순으로 필기합격자로 선발하지만, 필기이후 면접은 면접관의 주관적인 평가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즉 일면식 없는 면접관의 마음을 나에게 옮기게 하는 운의 흐름을 합격운이라 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합격운 사주와 합격운 사주를 보는 방법에 대해 알기쉽게 설명하였습니다. ✅ 내사주 합격운 판별 방법 본인 사주팔자 구성에서 시험운,합격운에 유리한 사주판별 항목으로는 십성의 조합,십이운성 및 신살종류를 구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합격운 사주예시(표1)] 첫째, 십성의 조합 확인 ① 정인,정관 : 정인과 정관의 조합 ② 편인,편관 : 편인과 편관의 조합 ③ 식신,정재 : 식신과 정재의 조합 ④식신,편관 : 식신과 편관의 조합등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이중 가장 합격운에 유리한 조합은 정인과 정관이 본인 사주에 있을 경우에는 시험날짜와 관계없이 사주구성에 특별한 이상이 없는 한 공개채용에 유리한 합격운 사주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본인 사주팔자내의 십성,신살,십이운성 종류를 파악하려면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무료사주풀이 또는  무료만세력 웹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그림1과 같은 만세력 화면이 출력되어 누구나 쉽게 확인가능합니다 . 둘째, 십이운성 종류파악  십성이외에도 본인 사주팔자에 십이운성중  관대,건록,제왕,장생이 있는 경우나 해당 십이운성을 만나는 운(세운,년운)이 합격운이 되는 것입니다. 셋째, 합격에 도움이 되는 신살파악 사주에는 시험에 도움이 되는 신살과 공부에 도움이 되는 신살이 있습니다. 학당귀인은 공부를 좋아하고 공부에 전념하는 신살이나,공부를 잘한다고 합격운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서,...

시주에 정재,편재가 있을경우 사주특성

 ✅시주에 정재,편재가 있을경우 사주특성 년월일시등 4개기둥으로 표현되는 사주팔자(四: 넉 사,柱: 기둥 주,八: 여덟 팔,字: 글자 자)에서 말년,자식운을 의미하는 시주(時柱)에 정재,편개가 있을 경우 나타나는 사주특성과  정재,편재外 정관,편관,식신,상관등 기타 십성이 위치할 경우 나타나는 사주특 성에 대하여 알기쉽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 사주팔자에서 재물을 나타내는 편재와 정재의 의미 사주에 재물을 나타내는 십성인 재성(財星)인 정재(正財),편재(偏財)가 기본적으로 하나정도 있어야 재물운이 있습니다. 사주상담사들이 재성이 없어도 재물을 모으는데 문제가 없다고 말을하지만 이는 상담자를 위로 또는 격려하려는 말일뿐 실제적으로는  살아가는데 정재,편재등의 재성이 없다는 것은 출생부터 남들보다 불리하게 시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말해서 사주팔자에 재성(편재,정재)가 있는 사람은 부모로 부터 토지,아파트등 유산을 받아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것인반면 재성이 없는 사람사주의 경우는 부모의 경제적 도움없이 스스로 돈을 모으거나 대출받아 아파트를 마련하여 힘들게 살아가는 경우입니다. * 무료 만세력설치 사주초보자의 경우 '사주기초용어'나 본인 사주팔자내에 있는 십성,12신살,오행에 대해 쉽게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무료 만세력' 또는 '무료 사주풀이'를 검색하여 다운받아 설치하여 본인의 '생년월일시'를 입력하면 아래 그림1-1과 같은 만세력화면이 나오며 이를 통해 사주초보자도 쉽게 본인 사주팔자에 있는 십성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시지에 편재가 있을경우 사주예시(그림1-1)] ✅ 십성의 위치에 따른 사주특성 사주분석에서 중요한 판단요소인 십성 또는 십신으로 불리는 십성은 우리사주환경에서 열가지 서로다른 사주환경을 제공하며 우리의 사주팔자의 4개기둥 즉,년주,월주,일주,시주 어느곳에 위치하는가에 따라서 같은 십...

대운보는 방법,대운에 정관,편관이 들어왔을 때 사주특성

대운보는 방법,대운에 정관,편관이 들어왔을 때 사주특성 사주팔자를 보는 방법은 선천적인 사주인 사주팔자원국(천간4글자+지지4글자)과  후천적인 운의 흐름인 대운,년운,월운등 삶의 기간별 시기에 따른 운의 흐름인 행운(行運)의 조합으로 운명을 판단합니다. 우리가 흔히 제일 궁금해하는 질문, 즉 "언제 돈을 벌 수 있는가?" 또는 "언제 결혼을 할 수 있는가?"의 기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은 사주팔자원국을 기초로 하고 10년마다 주기적으로 오는 가장 큰 운의 흐름인 대운(大運)과 년마다 주기적으로 오는 년운,세운으로 불리는 년운(年運),달마다 달라지는 월운(月運)등의 행운을 분석하여 답을 찾는 것입니다. 본 포스팅은 사주초보자도 무료사주풀이 앱을 통한 사주기초용어 대한 개념만 이해해도 누구나 본인사주 대운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알기쉽게 기술 하였습니다. 사주풀이 화면예시/천을귀인(표1-1) * 본 포스팅의 이해를 돕기위해 구글 플레이스토어 마켓에서 '무료사주풀이' 또는 '무료만세력풀이'앱을 다운받아 설치하시고 본인의 생년월일시를 입력하시면 본인 사주원국과 대운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 대운의 의미와 특성,무속인에게 속지 않는 방법 본 포스팅을 통해 무료사주풀이 앱을 기본적으로 활용할 줄 안다면 대운을 빙자한 무속인들의 눈속임에 속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대운의 뜻과 특성 대운의 한자구성은 大(클 대),運(운명 운)의 두글자로 이루어져 '큰 운명'이라고 자의해석되나 여기서 크다는 것은 해마다 돌아오는 년운(年運),달마다 돌아오는 월운(月運)등 행운중에서 가장 기간이 긴 운을 말하는 것으로 크다는 의미보다는 '기간이 길다'는 의미로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運(운)이라는 글자가 운명 운,운 운의 뜻으로 된 연유는 運의 글자를 풀어보면 군대 군(軍)과 받침 변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군마(군대)의 움직임은 전쟁터에서 작전을 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