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을묘일주,을묘일주 사주특성과 사주보완

을묘일주 사주특성과 사주보완

을묘(乙卯)일주의 물상은 '봄철 초원을 뛰노는 토끼'로 부지런하고 잠시도 가만 있지못하는 활발한 활동성과,

간여지동(干如支同),천파성(天:하늘 천,破:깨질 파,星: 성:분리성향)일주로서 자기주장이 강하며 부부인연이 좋지 못하며(배우자에 대한 배타성작용),밖에서는 호인(好人)이지만 집안에서는 가족구성원이나 집안일에 무관심한 일주입니다.

을묘일주

본 포스팅에서는 사주 초보자 눈높이로 을묘일주 기본 사주특성과 사주에 드러나는 사주 장단점을 함께 알아보고 사주부작용에 대한 사주보완방법에 대해 알기쉽게 설명하였습니다.

✅ 을묘일주 사주구성

을묘일주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을묘일주 사주내에 있는 십성,신살 종류별 사주내 작용과 자의형상(字意形狀) 분석을 통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 을묘일주 십성(十星,十神)종류 및 특성

을묘일주의 속하는 십성에는 일간(나)과 같은 오행으로 구성된 비견(比肩),겁재(劫財)로 구성(표1참조)되어 겉은 연약한 새싹,약한 초식동물 토끼형상이지만 내면은 자기주장이 강한,외유내강(外柔內强)형 성향을 특징으로 합니다.

그러나 호의적인 조력자인 십성 비견과 경쟁적인 조력자인 겁재가 혼재한 일주구성으로 재물이 들어오면 나갈 곳이 많고 경쟁자가 많음을 암시합니다.
을묘일주

[을묘일주 사주구성(표1)]

을묘일주 자의형상,물상분석

을목(乙)의 물상(物狀)은 '봄철 대지를 뚫고 나오는 새싹','초원에 자유롭게 뛰노는 토끼이며,자의형상(字意形狀)은 '바람(風),새싹,잡초,넝쿨,화초'를 의미하며 을목(乙) 천간글자에 해당하는 동물은 '삵(살쾡이)'에 해당합니다.

* 고양이과 야생동물인 삵은 애완동물인 고양이와 달리 민첩하고 환경적응력이 빠른 육식성 동물로 포악한 포식자이지만,
사람에 새끼때 사육하면 사람에 한정하여 고양이같이 순하게 잘 따르나,

집안의 가축이나 다른 동물들에게는 항상 야생공격성을 드러내는 강자(사람)에게 승복하나 다른 동물에게는 자기보다 몸집이 커도 사냥감으로 여기는 삶의 적응력이 뛰어난 동물로서, 

이러한 삵의 행동특성은 즉, 자기보다 강한 천적을 잘 피하고 나무를 잘 타는 특징으로 생존능력이 뛰어난 천간 글자 '을목(乙)'에 해당되는 동물로 비유된 이유입니다.

- 천간글자 을목(乙)은 강한 비바람에도 맞서서 대응하다 부러지는 소나무,전나무,대나무등을 의미하는 갑목(甲)과는 달리,

비바람에 유연하게 자기몸을 맡겨 살아남는 넝쿨성 식물이나 산정상 부근에서 비바람을 맞으며 자생하는 키가 작은 나무(관목)에 해당됩니다.

- 지지글자 묘목(卯)은 갈라짐,깨짐,분리를 특징으로 하는 천파성(天破星)이 존재하며,지지글자 묘목(卯)에 해당하는 동물은 토기입니다.

일지는 배우자 자리를 의미하는데,천파성  지지글자인 묘목이 위치함으로 인해 을묘일주는  배우자와의 인연이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을묘일주 천간,지지글자 동물특성 이해

을묘일주의 사주특성을 쉽게 이해하려면 천간은 정신세계,지지글자는 현실세계를 뜻하여 을묘일주의 정신세계를 지배하는 동물은 '삵'이고 현실세계를 지배하는 동물은 토끼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을묘일주 신살 종류 및 특징

을묘일주에 해당하는 신살(神煞) 종류의 사주특성으로 을묘일주 사주특성을 파악가능하며,을묘일주에 해당하는 신살종류는 구추방해,음욕살,간여지동이 있습니다

①구추방해(九:아홉 구,醜:추할 추,妨:방해할 방,害:해로울 해) :  구추방해란 '살아가는 데 아홉가지 추하고 더러운 일이 발생하여 일
 을 망친다'라는 뜻으로 이성간의 잦은 인연이 맺어지나,

 그리오래가지 못하고 헤어질 때 좋게 못헤어지고 좋지않은 사건,일의 연류가 된 나쁜 인연이 계속된다는 신살입니다.

② 음 욕 살(淫:음란할 음,慾:욕심 욕,煞:죽일 살) : 음욕살이란 말 그대로 음욕스럽고 색정을 밝힌다는 신살입니다.

③ 간여지동(干:천간 간,與: 여,支:지 지,同:한가지 동) : 간여지동이란 일주의 나를 의미하는 일간글자와 지지의 배우자를 의미하는 일지글자의 오행이 같은 사주구성을 말하는데,

일간과 일지의 글자가 같은 오행이 있다는 것은 친구,동업자등과 같이 자기가 의지하고 힘이 되어줄 사람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자기를 지지할 친구,동료,동업자의 세력을 믿고 자기주장을 강하게 내세우는 사주특성을 가진 신살을 간여지동이라고 합니다.

✅ 을묘일주 사주특성

- 을묘일주는 '춘목춘화(春木春花)'로  여름이나 가을철 피는 꽃보나 빨리피고 일찍 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을묘일주는 이러한 특성으로 열매(결과)를 빨리 얻으려는 성급함을 지녀 결과지향적으로 인내심이 부족하여 일을 그릇치는 행동결과를 가져옵니다.

- 을묘(乙卯)일주 을목은 역마성(驛馬星)을 의미하는 천간글자중 하나로서 을목(乙)을 가진 일지(日支)의 공통점은 끊임없이 몸을 움직여야 몸이 안아프다는 사주특성을 가지며 근면 성실한 사람들이 많습니다.

- 을묘일주는 자기주장과 고집을 특징으로 하는 간여지동 사주중에서 비교적 융통성이 있으며 실리를 중시합니다.

- 을묘일주는 인내심,뚝심이 부족하여 일을 잘 벌이나 성급함으로 인하여 결과를 보지 못하는 '유시무종(有時無終)' 사주특성으로,

진득하게 한직장에서 정년까지 다니기보다는 자주 옮겨다니는 습성으로 직장이나 주거에 잦은 변동이 있습니다.

따라서  직장생활보다는 개인사업,자영업이 적성에 맞습니다.

- 을묘일주는 남의 말을 잘듣고 경청하고 타인에게 잘 전달하는 장점이 있지만 타인의 비밀을 지켜주지 못하고,
남을 말을 잘듣고 믿는 귀가 얇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을묘일주는 토끼처럼 초원을 여기저기 돌아다니는 습성과 같이 호기심이 많고 아름다운 세계를 동경하는 순진함과 낭만을 가지고 있으나 소심하고 독립성이 부족합니다.

- 을묘일주는 자기주관이 강한 간여지동 일주로 배우자 자리에 자신과 같은 존재(같은 오행)가 위치함으로 배우자를 이기려는 습성으로 여자사주는 배우자나 남편,이성운이 약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합격운 사주,합격운 보는 방법

합격운 사주,합격운 보는 방법 많은 입시생,고시생,취업 준비생들 뿐만 아니라 중년이후 보다나은 노후준비를 위한 자격증을 취득을 준비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많은 경쟁자를 물리치고 선택받는 합격증은 단순히 노력만 의해서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 합격운에 의해 결정되는 것입니다. 그이유는 실기(필기)성적은 객관적인 데이터에 의해 성적순으로 필기합격자로 선발하지만, 필기이후 면접은 면접관의 주관적인 평가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즉 일면식 없는 면접관의 마음을 나에게 옮기게 하는 운의 흐름을 합격운이라 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합격운 사주와 합격운 사주를 보는 방법에 대해 알기쉽게 설명하였습니다. ✅ 내사주 합격운 판별 방법 본인 사주팔자 구성에서 시험운,합격운에 유리한 사주판별 항목으로는 십성의 조합,십이운성 및 신살종류를 구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합격운 사주예시(표1)] 첫째, 십성의 조합 확인 ① 정인,정관 : 정인과 정관의 조합 ② 편인,편관 : 편인과 편관의 조합 ③ 식신,정재 : 식신과 정재의 조합 ④식신,편관 : 식신과 편관의 조합등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이중 가장 합격운에 유리한 조합은 정인과 정관이 본인 사주에 있을 경우에는 시험날짜와 관계없이 사주구성에 특별한 이상이 없는 한 공개채용에 유리한 합격운 사주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본인 사주팔자내의 십성,신살,십이운성 종류를 파악하려면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무료사주풀이 또는  무료만세력 웹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그림1과 같은 만세력 화면이 출력되어 누구나 쉽게 확인가능합니다 . 둘째, 십이운성 종류파악  십성이외에도 본인 사주팔자에 십이운성중  관대,건록,제왕,장생이 있는 경우나 해당 십이운성을 만나는 운(세운,년운)이 합격운이 되는 것입니다. 셋째, 합격에 도움이 되는 신살파악 사주에는 시험에 도움이 되는 신살과 공부에 도움이 되는 신살이 있습니다. 학당귀인은 공부를 좋아하고 공부에 전념하는 신살이나,공부를 잘한다고 합격운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서,...

시주에 정재,편재가 있을경우 사주특성

 ✅시주에 정재,편재가 있을경우 사주특성 년월일시등 4개기둥으로 표현되는 사주팔자(四: 넉 사,柱: 기둥 주,八: 여덟 팔,字: 글자 자)에서 말년,자식운을 의미하는 시주(時柱)에 정재,편개가 있을 경우 나타나는 사주특성과  정재,편재外 정관,편관,식신,상관등 기타 십성이 위치할 경우 나타나는 사주특 성에 대하여 알기쉽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 사주팔자에서 재물을 나타내는 편재와 정재의 의미 사주에 재물을 나타내는 십성인 재성(財星)인 정재(正財),편재(偏財)가 기본적으로 하나정도 있어야 재물운이 있습니다. 사주상담사들이 재성이 없어도 재물을 모으는데 문제가 없다고 말을하지만 이는 상담자를 위로 또는 격려하려는 말일뿐 실제적으로는  살아가는데 정재,편재등의 재성이 없다는 것은 출생부터 남들보다 불리하게 시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말해서 사주팔자에 재성(편재,정재)가 있는 사람은 부모로 부터 토지,아파트등 유산을 받아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것인반면 재성이 없는 사람사주의 경우는 부모의 경제적 도움없이 스스로 돈을 모으거나 대출받아 아파트를 마련하여 힘들게 살아가는 경우입니다. * 무료 만세력설치 사주초보자의 경우 '사주기초용어'나 본인 사주팔자내에 있는 십성,12신살,오행에 대해 쉽게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무료 만세력' 또는 '무료 사주풀이'를 검색하여 다운받아 설치하여 본인의 '생년월일시'를 입력하면 아래 그림1-1과 같은 만세력화면이 나오며 이를 통해 사주초보자도 쉽게 본인 사주팔자에 있는 십성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시지에 편재가 있을경우 사주예시(그림1-1)] ✅ 십성의 위치에 따른 사주특성 사주분석에서 중요한 판단요소인 십성 또는 십신으로 불리는 십성은 우리사주환경에서 열가지 서로다른 사주환경을 제공하며 우리의 사주팔자의 4개기둥 즉,년주,월주,일주,시주 어느곳에 위치하는가에 따라서 같은 십...

대운보는 방법,대운에 정관,편관이 들어왔을 때 사주특성

대운보는 방법,대운에 정관,편관이 들어왔을 때 사주특성 사주팔자를 보는 방법은 선천적인 사주인 사주팔자원국(천간4글자+지지4글자)과  후천적인 운의 흐름인 대운,년운,월운등 삶의 기간별 시기에 따른 운의 흐름인 행운(行運)의 조합으로 운명을 판단합니다. 우리가 흔히 제일 궁금해하는 질문, 즉 "언제 돈을 벌 수 있는가?" 또는 "언제 결혼을 할 수 있는가?"의 기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은 사주팔자원국을 기초로 하고 10년마다 주기적으로 오는 가장 큰 운의 흐름인 대운(大運)과 년마다 주기적으로 오는 년운,세운으로 불리는 년운(年運),달마다 달라지는 월운(月運)등의 행운을 분석하여 답을 찾는 것입니다. 본 포스팅은 사주초보자도 무료사주풀이 앱을 통한 사주기초용어 대한 개념만 이해해도 누구나 본인사주 대운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알기쉽게 기술 하였습니다. 사주풀이 화면예시/천을귀인(표1-1) * 본 포스팅의 이해를 돕기위해 구글 플레이스토어 마켓에서 '무료사주풀이' 또는 '무료만세력풀이'앱을 다운받아 설치하시고 본인의 생년월일시를 입력하시면 본인 사주원국과 대운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 대운의 의미와 특성,무속인에게 속지 않는 방법 본 포스팅을 통해 무료사주풀이 앱을 기본적으로 활용할 줄 안다면 대운을 빙자한 무속인들의 눈속임에 속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대운의 뜻과 특성 대운의 한자구성은 大(클 대),運(운명 운)의 두글자로 이루어져 '큰 운명'이라고 자의해석되나 여기서 크다는 것은 해마다 돌아오는 년운(年運),달마다 돌아오는 월운(月運)등 행운중에서 가장 기간이 긴 운을 말하는 것으로 크다는 의미보다는 '기간이 길다'는 의미로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運(운)이라는 글자가 운명 운,운 운의 뜻으로 된 연유는 運의 글자를 풀어보면 군대 군(軍)과 받침 변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군마(군대)의 움직임은 전쟁터에서 작전을 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