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대상자로 피해야 할 남자사주 유형,무식상 남자사주

결혼 대상자로 피해야 할 남자사주 유형,무식상 남자사주

식상(식신,상관)은 남자에게 있어서 여자에게 잘 대해주려는 행동과 표현을 말합니다.

남자사주에 식신(食神),상관(傷官)등 식상(食傷)이 없다는  것은,

즉 무식상(無食傷)사주는 사는동안 배우자에게 사랑표현을 할 줄 모르는 무뚝뚝한 표현력이 없는 남자인 것입니다.

반대로 남자사주에 식상(식신,상관)이 많다는 것은 너무 애정표현이 많아 바람둥이  사주이며 행동보다 말만앞서는 실속없는 남자사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결혼대상자로 피해야 할 남자사주 유형중 무식상 남자사주특징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 식상(식신,상관)의 사주작용

사주에서 십성(식신,상관)의 사주작용을 배우자에 대한 사주작용에 관점을 두고 살펴보면 왜 사주에 식신,상관이 없는 남자와 결혼을 피해야만 하는 이유를 이해하게 됩니다.

식상생재의 사주원리 이해

십성중 재성(편재,정재)는 남녀공통으로  재물을 뜻하고 친아버지를 뜻합니다.

한편 남자사주에서는 재성은 부인,애인,여자친구를 뜻합니다.

식상생재란 남자사주에서 식신,상관등 식상이 있는 경우 부인,애인,여자친구에게 물심양면으로 잘 해주는  사주DNA인자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본인이 결혼상대자로 생각하는 남자사주를 철학관에서 알아 보았는데 식신,상관이 사주팔자에 없다면,

이남자는 결혼후 부인생일,결혼기념일 조차 챙겨주지 않고 표현이 전혀없고 자기만 생각하는 남자사주인 것입니다.

✅ 무식상 남자사주 대표적 사주특징

무식상 남자사주
[무식상 남자사주예시(표1)]

미혼여성들이 무식상 남자사주에 속아넘어가는 대표적인 사주특징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무식상(無食傷) 사주란 사주팔자원국의 여덟글자중에서 십성(十星)중  식신(食神) 또는 상관(傷官)이 한 개도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연애시절과 결혼후 이중성격

사주에 식상이 없는 남자는 본능적으로 이성에게 관심을 보이고 열정을 보이는 사주인자인 식신,상관이 자기 사주에 없음을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연애시기에는 여자가 반할정도로 각종 이벤트를 하게 됩니다.

각종 기념일마다 선물을 애인에게 챙겨주고 예비 장인,장모에게 까지 과하다 싶을 만큼 선물공세를 합니다.

그러나 결혼후 이러한 태도는 돌변하여 '잡은 물고기는 먹이를 주지 않는다'라는 속담처럼 부인에 대한 태도가 돌변하고 무관심으로 애정표현을 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행동특성은 무식상 남자사주에게 결혼후 식상의 사주작용을 쓰지 못하는 이유입니다.

본인에게 가진 식신,상관의 기운은 사주팔자원국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대운이나 세운에서 자신에게 들어온것을 결혼하기 위해 혼신을 다해 이미 써버렸기 때문에,

식신,상관 대운이나 세운이 지나면 표현력,배우자에게 잘해주는 식상의 사주작용력을 본인이 하고 싶어도 할 수가 없는것입니다.

✔ 대화단절,귀차니즘,바람끼 작동

여자사주에서 결혼전그렇게 말잘하고 애정표현을 살갑고 다정한 남자의 행동에 매력을 느껴서 결혼했다면,

아마도 본인은 십중팔구 상대방에게 잘해주는 살갑고 다정하며 표현력이 많은 여자가 아니라 받는 것에 익숙하고,

내가 상대방보다 표현을 더많이 하고 즐겁게 하는 성격이 아니라 주로 내가 상대방말을 듣고 즐거워하는 성격입니다.

이러한 여자사주와 결혼한 무식상 남자사주는 배우자에게 애정표현을 오히려ㅈ받기를 원합니다.

그러나 대부분 무식상 남자와 결혼한 여자사주는 본인 또한 식신,상관등 식상이 사주팔자에 없습니다.

이러한 경우 남자는 다른 이성에게 관심을 돌리고 부인과 대화하는 것이 재미없고 밖에서는 말이 많은 남자가

집에 들어와서는 말이없는 남자가 되는 것입니다.

만일 결혼하고자하는 여자사주에 식신,상관이 사주팔자원국에 두개이상 있다면 무식상 남자와 결혼해도 됩니다.

그이유는 십성 식신,상관 두개의 사주작용력으로 본인이 무뚝뚝한 남자를 즐겁게하고 분위기를 이끌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편관 뜻과 편관사주 운의 해석

겁재 뜻과 사주에 겁재가 있는경우

대운보는 방법,대운에 정관,편관이 들어왔을 때 사주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