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을묘일주의 특성과 심리

 ✅ 을묘(乙卯)일주의 특성과 심리

초원위의 토끼


을묘(乙卯)일주의 자의형상(字意形狀)은 푸른 풀밭을 자유롭게 뛰어다니는  토끼형상으로 타인에게 인정이 많고 배려심이 있으나 토끼처럼 소심하고 힘이 약하여 자기주도의 힘이 부족한 일주입니다.

한편 을묘일주는 아름답고 낭만적인 이상세계를 동경하는 순진함이 있으며 외유내강(外柔內强)으로 은근히 고집이 셉니다. 
이는 토끼의 실제적인  특성으로 토끼는 자기가 늘가던 길만 가며 다른 길을 가지않은 단순함과 융통성없는 특성을 이용하여 토끼사냥시 토끼가 다니던 길목에 덫을 놓으면 쉽게 토끼를 잡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을묘일주들은 본인의 고집으로 인하여 하는 일이 자주 실패할 수 있다면 점을 감안하여 자신의 고집을 줄이고 남의 의견을 수용하는 노력이 필요한 일주입니다.

을묘일주의 남자는 밖에서는 좋은 사람으로 평판이 있으나 정작 가족에게는 무뚝뚝하고 정이 없어 집안일은 주로 부인에게 맡기는  성향이 강합니다.

또한 을묘일주는 십신 또는 십성(十星)이 동료나 경쟁자를 뜻하는 겁재(刦財)와 비견(比肩)이  다수 존재하여 재물이 나가며 재물과 이성교제에 있어서 경쟁자가 많은 일주입니다.


을묘(乙卯)일주의 여자는 대체로 남편덕이 없는 편이라서 본인이 부지런히 사회활동하며,
경제활동을 하며 자녀를 키워야 하는 사주입니다. 즉 부부간 살더라도 따로 사는 것과 마찬가지가많으며 흉살(凶:흉할 흉,殺:죽일 살)이 겹치면 이별을 하기 쉽습니다.

을묘(乙卯)일주의 배우자자리는 본인이 미래배우자 자리에서 본인이 들어앉아 있어  배우자도  본인과 닮은 성격을 찾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일간의 오행과 음양이 일지의 오행과 일치할 경우를 비견(比:견줄 비,肩:어깨 견)이라고 하는데 비견이란 자기세력이나 편이 되어줄 수 있는 친구,직장동료,동업자를 말하는 것으로 일주의 일지(日支)에 비견이 있다는 것은 '자신을 지지하는 세력'이 많다는 것으로 다른말로 '간여지동(干如支同:천간과 지지의 글자가 동일 하다는 뜻)'일주라고 하는데 대개 간여지동 일지의 사주는 자신의 우군의 힘을 믿는 특성으로 고집이 세고 자기주장이 강합니다.

연애는 쉬우나 정작 배우자가 될 사람과의 인연은 잘 연결이 안되어 친화력이 좋아 잦은 연애를 할 수 있으나 결혼으로 연결되었더라도 쉽게 이혼을 할 수 있으므로 30대후반이후에 늦게 결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철학관에서 사주를 보러갔을때 늦게 결혼하라고 권유하는 이유는 사람에게는 선천적이고 불변의 사주상황인 사주팔자원국(命),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시계바늘처럼 나에게 다가오는 행운(行運)인 대운,년운,월운등이 젊은 시절에는 좋지않은 운으로 나에게 다가오지만 시간이 지나면 나쁜운은 지나가고 좋은 운이 나에게 다가오기 때문입니다.

이전에 결혼하려면 본인을 잡아 줄 수 있는 경술(庚戌)일주의 남자를 선택적으로 만나 연애하여 결혼하는 것이 좋은데 우리의 삶이란 그리 녹록하지 않기에 을묘일주 여자사주의 경우는 가능한 연애는 하되 가능한 늦게 결혼하는 것이 자신 사주에 맞는 배우자를 만날 수 있는 사주보완방법입니다.


을묘(乙卯)일주는 관성이 절지에 있어 직장내 승진이 늦거나 직장생활이 순탄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을묘일주는 경쟁심이 강하여 성실하게 직장생활을 하며 이겨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남들보다 힘들지만 이겨내는 뚝심을 발휘하는 일주이기도 합니다.

을묘일주는 자수성가와 초년에 고향을 떠나 사회생활을 하게 되는 성향이 강합니다.
을묘일주 여성은 집안살림보다는 직장생활,사회생활을 해야 본인의 스트레스를 덜 받고 부지런하며,생활력이 강하나 돈 욕심이 많고 남의 말에 쉽게 넘어가는 것에 주의해야 합니다.


을묘일주에서 가장주의 해야할 사항은 본인의 고집을 줄이고 배우자를 존중하는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본인의 고집을 부리고 배우자를 배척하는 마음은 본인에게도 안 좋고 운에도 안좋습니다. 연애를 할때 신중히 하고 나의 부족하고 조급한 성격을 감싸줄 수 있는 연하보다는 3살이상의 연상이 좋습니다.

을묘(乙卯)일주는 천간의 목기운이 가장강한 을목(乙)과 지지의 가장 강한 목기운인 묘목(卯)이 결합한 일지로서 木(목)의 에너지가 가장 강한 일주입니다.

을묘일주가 가장 좋아하는 음양오행은 火,金이며,즉 을묘일주에 있어서 화는 재물이며,금은 직장,여자에 있어서 남편이기도 합니다. 가장 싫어하는 오행은 水으로 을묘일주가 가장 좋아하는 재물을 멀리하게 하는 오행이기도 합니다.

을묘일주의 사람은 겉으로는 토끼같이 연약하여 쉽게 넘어올것같지만 초식동물중 최하위에 위치한 토끼처럼 자신을 지키기위한 경계심으로 오히려 남에게 쉽게 넘어가지 않으며, 
을묘일주의 사람의 마음을 얻으려면 상대방의 능력을 알아주는 사람에게 자신의 마음을 열게됩니다.

을모일주는 토끼처럼 연약한 동물처럼 자신을 지켜주는 것은 오직 재물이라고 생각하고 재물에 집착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 을묘일주는 사주구성상 오행 목(木)의 시작과 끝으로 모든 일주중에서  토(土)오행의  세력이 가장 뛰어난 일주로 나무(木)가 뿌리를 땅(토:재물)에 내리듯이 을묘일주에게서 재물을 뜻하는 토오행을 제어하여 자기것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실제로 을묘일주 사주의 사람들은  재물을 집착하고 이용하는 방법이 타일주 보다 뛰어납니다. 즉 자기가 맘에 드는 것은 어떠한 방법을 써서라도 자기것으로 만들어내는 능력이 있습니다.

               

* 일주별 사주특성에 대한 포스팅을 더 읽고싶으시면 아래글을 참조바랍니다

https://jonsewose.blogspot.com/2021/04/blog-post.html
(기사일주의 특성과 성질)

(정사일주의 특성과 성질)

(임인일주의 특성과 심리)

(을미일주의 특성과 심리)

(무오일주의 특성과 심리)

(무료사주풀이,을축일주의 사주특성과 개운법)

(무료사주풀이,무인일주의 사주특성과 개운법)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합격운 사주,합격운 보는 방법

합격운 사주,합격운 보는 방법 많은 입시생,고시생,취업 준비생들 뿐만 아니라 중년이후 보다나은 노후준비를 위한 자격증을 취득을 준비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많은 경쟁자를 물리치고 선택받는 합격증은 단순히 노력만 의해서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 합격운에 의해 결정되는 것입니다. 그이유는 실기(필기)성적은 객관적인 데이터에 의해 성적순으로 필기합격자로 선발하지만, 필기이후 면접은 면접관의 주관적인 평가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즉 일면식 없는 면접관의 마음을 나에게 옮기게 하는 운의 흐름을 합격운이라 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합격운 사주와 합격운 사주를 보는 방법에 대해 알기쉽게 설명하였습니다. ✅ 내사주 합격운 판별 방법 본인 사주팔자 구성에서 시험운,합격운에 유리한 사주판별 항목으로는 십성의 조합,십이운성 및 신살종류를 구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합격운 사주예시(표1)] 첫째, 십성의 조합 확인 ① 정인,정관 : 정인과 정관의 조합 ② 편인,편관 : 편인과 편관의 조합 ③ 식신,정재 : 식신과 정재의 조합 ④식신,편관 : 식신과 편관의 조합등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이중 가장 합격운에 유리한 조합은 정인과 정관이 본인 사주에 있을 경우에는 시험날짜와 관계없이 사주구성에 특별한 이상이 없는 한 공개채용에 유리한 합격운 사주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본인 사주팔자내의 십성,신살,십이운성 종류를 파악하려면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무료사주풀이 또는  무료만세력 웹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그림1과 같은 만세력 화면이 출력되어 누구나 쉽게 확인가능합니다 . 둘째, 십이운성 종류파악  십성이외에도 본인 사주팔자에 십이운성중  관대,건록,제왕,장생이 있는 경우나 해당 십이운성을 만나는 운(세운,년운)이 합격운이 되는 것입니다. 셋째, 합격에 도움이 되는 신살파악 사주에는 시험에 도움이 되는 신살과 공부에 도움이 되는 신살이 있습니다. 학당귀인은 공부를 좋아하고 공부에 전념하는 신살이나,공부를 잘한다고 합격운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서,...

시주에 정재,편재가 있을경우 사주특성

 ✅시주에 정재,편재가 있을경우 사주특성 년월일시등 4개기둥으로 표현되는 사주팔자(四: 넉 사,柱: 기둥 주,八: 여덟 팔,字: 글자 자)에서 말년,자식운을 의미하는 시주(時柱)에 정재,편개가 있을 경우 나타나는 사주특성과  정재,편재外 정관,편관,식신,상관등 기타 십성이 위치할 경우 나타나는 사주특 성에 대하여 알기쉽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 사주팔자에서 재물을 나타내는 편재와 정재의 의미 사주에 재물을 나타내는 십성인 재성(財星)인 정재(正財),편재(偏財)가 기본적으로 하나정도 있어야 재물운이 있습니다. 사주상담사들이 재성이 없어도 재물을 모으는데 문제가 없다고 말을하지만 이는 상담자를 위로 또는 격려하려는 말일뿐 실제적으로는  살아가는데 정재,편재등의 재성이 없다는 것은 출생부터 남들보다 불리하게 시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말해서 사주팔자에 재성(편재,정재)가 있는 사람은 부모로 부터 토지,아파트등 유산을 받아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것인반면 재성이 없는 사람사주의 경우는 부모의 경제적 도움없이 스스로 돈을 모으거나 대출받아 아파트를 마련하여 힘들게 살아가는 경우입니다. * 무료 만세력설치 사주초보자의 경우 '사주기초용어'나 본인 사주팔자내에 있는 십성,12신살,오행에 대해 쉽게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무료 만세력' 또는 '무료 사주풀이'를 검색하여 다운받아 설치하여 본인의 '생년월일시'를 입력하면 아래 그림1-1과 같은 만세력화면이 나오며 이를 통해 사주초보자도 쉽게 본인 사주팔자에 있는 십성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시지에 편재가 있을경우 사주예시(그림1-1)] ✅ 십성의 위치에 따른 사주특성 사주분석에서 중요한 판단요소인 십성 또는 십신으로 불리는 십성은 우리사주환경에서 열가지 서로다른 사주환경을 제공하며 우리의 사주팔자의 4개기둥 즉,년주,월주,일주,시주 어느곳에 위치하는가에 따라서 같은 십...

대운보는 방법,대운에 정관,편관이 들어왔을 때 사주특성

대운보는 방법,대운에 정관,편관이 들어왔을 때 사주특성 사주팔자를 보는 방법은 선천적인 사주인 사주팔자원국(천간4글자+지지4글자)과  후천적인 운의 흐름인 대운,년운,월운등 삶의 기간별 시기에 따른 운의 흐름인 행운(行運)의 조합으로 운명을 판단합니다. 우리가 흔히 제일 궁금해하는 질문, 즉 "언제 돈을 벌 수 있는가?" 또는 "언제 결혼을 할 수 있는가?"의 기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은 사주팔자원국을 기초로 하고 10년마다 주기적으로 오는 가장 큰 운의 흐름인 대운(大運)과 년마다 주기적으로 오는 년운,세운으로 불리는 년운(年運),달마다 달라지는 월운(月運)등의 행운을 분석하여 답을 찾는 것입니다. 본 포스팅은 사주초보자도 무료사주풀이 앱을 통한 사주기초용어 대한 개념만 이해해도 누구나 본인사주 대운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알기쉽게 기술 하였습니다. 사주풀이 화면예시/천을귀인(표1-1) * 본 포스팅의 이해를 돕기위해 구글 플레이스토어 마켓에서 '무료사주풀이' 또는 '무료만세력풀이'앱을 다운받아 설치하시고 본인의 생년월일시를 입력하시면 본인 사주원국과 대운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 대운의 의미와 특성,무속인에게 속지 않는 방법 본 포스팅을 통해 무료사주풀이 앱을 기본적으로 활용할 줄 안다면 대운을 빙자한 무속인들의 눈속임에 속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대운의 뜻과 특성 대운의 한자구성은 大(클 대),運(운명 운)의 두글자로 이루어져 '큰 운명'이라고 자의해석되나 여기서 크다는 것은 해마다 돌아오는 년운(年運),달마다 돌아오는 월운(月運)등 행운중에서 가장 기간이 긴 운을 말하는 것으로 크다는 의미보다는 '기간이 길다'는 의미로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運(운)이라는 글자가 운명 운,운 운의 뜻으로 된 연유는 運의 글자를 풀어보면 군대 군(軍)과 받침 변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군마(군대)의 움직임은 전쟁터에서 작전을 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