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인 뜻과 운에서의 사주작용 편인(偏印)은 사주에서 일반적인 사주환경을 제공하는 사주요소가 아니라 특수한 사주환경을 제공하는 십성(十星)으로 사주 길신(吉神)의 역할보다는 흉신(凶神)의 역할이 많아 흉신으로 분류됩니다. 본 포스팅은 십성중 예술,특수분야 관심,학문에 특화된 편인(偏印) 뜻과 사주환경에서의 편인의 운(運)에서의 사주작용에 대해 알기쉽게 설명하였습니다. ✅ 편인 뜻 사주용어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다소 어렵게 느껴지는 편인의 뜻과 편인을 사주팔자에 가지고 있는 사주작용에 대해 쉽게 이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편인 사주구성 원리(표1)] * 위 예시는 일지에 편인이 위치한 일지 편인 사주구성의 예시입니다. * 일지 편인으로 구성되는 대표적인 편인 일주인 경진일주 사주예시로서 일지의 진토(辰,+)가 일간의 경금(庚,+)을 도와주는 사주구성입니다. ✔ 편인 뜻 편인은 일간(日干)인 나를 도와주는 지지(地支) 글자(표1참조)로서 나와 음양이 같을 경우 편인(偏: 치우 칠 편,印: 도장 인)이라고 하며,음양(陰陽)이 다른 경우 정인(正: 바를 정,印: 도장 인)으로 구분합니다. 즉,편인 뜻은 사주에서 나를 도와주는 지지에 위치한 오행으로 음양이 같은 경우의 사주구성을 편인이라고 합니다. - 편인의 한자구성을 보면 ' 치울 칠 편(偏)+ 도장 인(印)'으로 '한쪽으로 편중된 관심과 사랑,인정'을 뜻합니다. 반면, 정인의 한자구성은 ' 바를 정(正)+ 도장 인(印)'으로 '어느 쪽 한쪽으로 치우치질 않고 균형되고 적절한 관심과 사랑,인정'을 뜻합니다. * 편인과 정인의 한자구성을 통하여 편인과 정인의 뜻과 사주성향을 대체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데, 사주를 처음 접하는 초보자들은 편인과 정인에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한자인 도장 인(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입니다. 편인과 정인 공통적인 사주특성과 사주작용인 일간인 나를 도와주는 사주특성의 핵심은 '부모로 부터,사회(직장),...
알기쉬운 초보자 눈높이에 맞춤형으로 누구나 쉽게 자신의 사주에 대해 이해하고, 본인 스스로 본인 사주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