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인 뜻과 운에서의 사주작용
편인(偏印)은 사주에서 일반적인 사주환경을 제공하는 사주요소가 아니라 특수한 사주환경을 제공하는 십성(十星)으로 사주 길신(吉神)의 역할보다는 흉신(凶神)의 역할이 많아 흉신으로 분류됩니다.
본 포스팅은 십성중 예술,특수분야 관심,학문에 특화된 편인(偏印) 뜻과 사주환경에서의 편인의 운(運)에서의 사주작용에 대해 알기쉽게 설명하였습니다.
✅ 편인 뜻
사주용어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다소 어렵게 느껴지는 편인의 뜻과 편인을 사주팔자에 가지고 있는 사주작용에 대해 쉽게 이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위 예시는 일지에 편인이 위치한 일지 편인 사주구성의 예시입니다.
* 일지 편인으로 구성되는 대표적인 편인 일주인 경진일주 사주예시로서 일지의 진토(辰,+)가 일간의 경금(庚,+)을 도와주는 사주구성입니다.
✔ 편인 뜻
편인은 일간(日干)인 나를 도와주는 지지(地支) 글자(표1참조)로서 나와 음양이 같을 경우 편인(偏:치우칠 편,印:도장 인)이라고 하며,음양(陰陽)이 다른 경우 정인(正:바를 정,印:도장 인)으로 구분합니다.
즉,편인 뜻은 사주에서 나를 도와주는 지지에 위치한 오행으로 음양이 같은 경우의 사주구성을 편인이라고 합니다.
- 편인의 한자구성을 보면 '치울 칠 편(偏)+도장 인(印)'으로 '한쪽으로 편중된 관심과 사랑,인정'을 뜻합니다.
반면, 정인의 한자구성은 '바를 정(正)+도장 인(印)'으로 '어느 쪽 한쪽으로 치우치질 않고 균형되고 적절한 관심과 사랑,인정'을 뜻합니다.
* 편인과 정인의 한자구성을 통하여 편인과 정인의 뜻과 사주성향을 대체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데, 사주를 처음 접하는 초보자들은 편인과 정인에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한자인 도장 인(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입니다.
편인과 정인 공통적인 사주특성과 사주작용인 일간인 나를 도와주는 사주특성의 핵심은 '부모로 부터,사회(직장),제도권 조직으로 부터 인정받는 행위'입니다.
예나 지금이나 과거시험이나 국가고시,자격증 시험을 공개경쟁을 통하여 합격을 할 경우 국가기관은 해당 합격자에게 합격증이나 자격증을 발급하여 그 효력과 지위를 인정하게 되는 데,
합격증서에 해당기관장의 날인이 없으면 그 문서의 효력이 없듯이 최종적으로 해당 증서에 기관의 날인, 즉 도장(印)이 해당 문서의 소유자에 권한과 지위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편인과 정인의 사주용어에 공통적으로 한자 印(도장 인)공통적으로 들어간 이유는 국가,사회등 제도권에 인정하는 권위와 지위에 대한 보장을 표현하기 위함입니다.
✅ 편인의 사주작용
편인이 사주에 있는 경우 어떠한 사주작용을 하는 지,정인과 편편인의 사주작용을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편인의 주요 사주작용은 일간인 나를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나를 도와주는 작용의 강약조절에 따라 정인과 편인으로 구분되어 길신과 흉신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 편인은 십성중 의식주를 해결하는 경제활동과 표현력 및 제반활동적 특성을 가지는 십성의 종류인 식신(食神)과 상관(傷官)의 힘을 빼거나 역할을 방해하는 사주작용을 합니다.
편인이 '의식주를 해결하는 표현력과 제반활동'을 사주작용을 하는 식신과 상관을 극한다면 해당 사주의 주인공은 경제적으로 힘든 삶의 환경에 처함을 의미합니다.
한편 관성(정관,편관)은 인성(정인,편인)에게 도움을 줍니다.인성은 공부(학업)에 특화된 십성으로, 공부보다는 즐기거나 돈버는 데 관심이 있는 식상(식신,상관)과 대립된 관계이지만
국가조직,직장(직업)과 관련된 정관(正官),편관(偏官)등의 관성과는 서로 돕는 관계로 사주내에 정관,편관등의 관성과 정인,편인등의 인성이 함께하면 관직이나 직장에서 인정받고 안정된 삶을 살게 됩니다.
- 사주에 편인,정인등이 있다면 자영업이나 개인사업등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공직에 입사하거나 직장에서 머리를 써서 일을하는 직업군을 선택하여야 합니다.
- 편인과 정인은 공부,학문에 특화된 십성으로 편인은 정인이 제도권에 인정하고 필요로 하는 일반학문(경영학,수학,물리학,경제학등)을 공부하는 데 관심이 있다고 한다면,
편인은 자기가 관심있는 분야,즉 사회적으로 필요로 하고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학문 분야가 아닌 특수분야(철학,예술,외계인 연구,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미지의 분야 등) 또는 자신이 하고 싶은 공부만 하는 특징으로,
편인은 정인보다 경제적으로 힘든 삶의 환경에 놓이게 됩니다.
- 편인은 부모 및 형제와의 인연이 약하여 어렸을 때부터 열악한 가정환경에서 자라며 남들의 눈치를 보며 자라는 환경으로 매사 눈치와 요령이 있으며 성장하면서 앞일을 미리예견하는 능력을 가지며 기회를 엿보게 됩니다.
- 편인은 남녀공통으로 고독한 삶을 살게될 사주특성을 가집니다.
특히 여자사주는 자식을 의미하는 식신과 상관을 깨뜨리고,배우자를 극하는 상관(傷官)의 사주작용으로 이혼을 하거거나 별거하는 등의 고독한 운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편인 뜻과 사주작용을 위에서와 같이 알아보았듯이 편인의 운에서의 사주작용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이 됩니다;
편인을 사주에 가진 사람은 크게 두가지 분류됩니다.
즉, 편인을 이겨낸 사람은 크게 성공 또는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그룹의 사람과 사회적으로 소외된 그룹의사람으로 구분됩니다.
편인은 편관과 마찬가지로 거친환경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사주환경입니다.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주부류의 사람들은 잡초처럼 거친환경을 이겨낸 사람들이며,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편인의 무자비한 환경에 굴복되어 운둔하거나 우울증이나 패배의식을 항상 지니는 사회적 소외자 그룹의 사람들입니다.
특히 편인을 이겨낸 사람들은 유명한 철학자,종교인으로 성공하거나 특히 방송연예인으로 이름을 오래 떨칩니다.
그러나 사주환경은 전자 성공그룹과 후자의 패배그룹의 비율은 대략 3:7으로 부단한 자기성찰과 인내로 이겨낸 편인 사주만이 열악한 사주환경을 극복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