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무신일주 사주특성과 사주보완

무신일주 사주특성과 사주보완

무신(戊申)일주는 큰칼을 허리춤에 차고있는 늠름한 무인(武人)의 모습을 연상하게 하는  60갑자중 대표적인 강직한 성품을 가진 일주입니다.

그러나 무신일주의 물상(物狀)은 '쓸쓸한 가을산'으로 타고난 천고성(天孤星) 사주로 이별과 외로움을 많이 느끼는 사주특성을 지녔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무신일주에 대한 사주특성을 알아보고 사주부작용에 대한 사주보완방법에 대해 사주초보자의 눈높이로 알기쉽게 설명하였습니다.


무신일주

무신일주는 천간에는 양(陽,+)의 성질을 가진 토(土) 오행인 무토(戊)와  지지의 양(陽,+)의 성질의 가진 금(金)오행인 신금(申)으로 결합으로 구성된 일주입니다.

✅ 무신일주 사주구성 원리

무신일주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신일주를 구성하는 천간,지지글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무신일주에 들어있는 십성의 종류를 파악하면 됩니다.

✔무토(戊)와 신금(申)의 특성이해

무신일주를 구성하는 무토와 신금의 기본속성에 대해 간단히 알아도 무신일주가 나타내는 사주특성을 쉽게 유추할 수 있습니다.

* 무토(戊)의 특징

무토의 형상은 물기가 없어 동식물이 살 수 없는 큰 산,황무지를  말합니다.

무토는 큰산처럼 대인배,스케일이 크고 쉽게 움직이지 않으며,타인에 대한 포용력이 있습니다.
큰산처럼 우직한 면이 있으나 자기주장만을 내세우는 고집이 있습니다.

* 신금(申)의 특징

신금은 만물이 성장하여 완성되는 음력 7월에 해당하는 초가을이며,시간은 15:30~17:30(신시)에 해당합니다.

신금은 땅속에 묻혀있는 가공되지 않은 철광석이나 지상에 우뚝솓아오른 큰바위 또는 금속을 의미합니다.

신금은 금속의 성질을 반영하여 차갑고 날카롭고 맺고 끊음이 정확합니다.

✔ 무신일주 십성종류 

무신일주를 구성하고 있는 십성(十星)의 종류를 파악하여 그특성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십성이란 사람의 사주환경을 조성하는 열가지 서로다른 사주특성을 말하며,사주에 좋은 영향을 끼치는 십성과 나쁘게 영향을 끼치는 십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무신일주
[무신일주 사주구성 분석도(표1)]

무신일주는  표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천간(天干)글자 무토(戊)와 지지(地支)글자 신금(申)으로 구성된 일주로서 천간글자.지지글자 모두 양(陽,+)의 성질을 나타냅니다.

* 오행의 성질중 양의 성질은 발산과 성장을 추구합니다.

일간 무토(戊)는  일지 신금(申)을  생해주는 관계,즉 토생금(土生金:땅이 땅속에 있는 철광석이 형성되는 것을 돕는다는 자연원리)의 관계이며, 무토,신금 오행이 양(陽,+)의 성질이므로 일지 신금은 십성중 식신(食神)에 해당합니다.(표1참조)

또한 지지글자  신금(申)에 숨어있는 천간글자(지장간)은 무토(戊),임수(壬),경금(庚)으로 십성의 종류는 비견,편재,식신으로 구성이 됩니다.

따라서 무신일주의 사주구성 분석을 통한 십성의 종류는 십성중 유일하게 신(神:신령 신)이라는 명칭이 붙어 사람사는 데 필요한 의식주를 해결하는 능력을 주는 사주특성을 가진 식신(食神)이 주된 역할을 하며,

조력자를 의미하는 십성 비견(比肩)과 횡재수,큰재물을 의미하는 편재(偏財)의 결합으로 재물이 풍족한 일주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무신일주 여자사주는 배우자 자리에 식신이 위치함으로 남편보다는 자식을 우선시 하는 사주환경으로 배우자와 인연이 오래가지 못한다는 사주부작용을 가지는 일주입니다.

돈과 가정의 화목 또는 돈과 명예(권력)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 복받은 사주팔자는 1%이내에 불과합니다.

대부분 사람의 사주팔자는 하나를 얻으면 다른 하나를 버려야 하는 사주구성으로 되어있습니다.

✅ 무신일주에 나타나는 사주특성

- 무신일주 사주는 식신을 가진 일주로 대외적으로는 활발한 대외활동을 하지만 , 가정적으로나 내적으로는 외로움을 많이 느끼는 사주특성을 지닙니다.

이는 사주내  고독한 사주환경을 조성하는 천고성,고란살의 중첩적 영향으로,식신이 있어  먹고사는데 부족함이 없지만,

평생 고독한 사주팔자를 피할 수 없는 일주입니다.

- 여자사주는 배우자자리에 식신이 있으므로(배우자 자리의 식신은 여자사주에서 자식을 뜻하며 남편을 의미하는 관성을 극하는 성질을 가진 십성임), 

결혼후 자식이 없을 때는 괜찮지만 이후 자식이 생기면 자식에게만 정성과
관심을 치우치기 때문에,

자연히 배우자를 등한시 하게되고 남편과 사이가 좋지않게되어 외롭게 노후를 살게 되는 것입니다.

무신일주 여자사주의 사주보완방법은 배우자를 존중하는 태도를 가지는 꾸준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만일 그렇지 않고 배우자를 무시하는 경우 만나는 남자마다 좋은 인연을 오래가지 못하고 노년에도 자식만 바라보는 외로운 삶을 살게 됩니다.

- 무신일주는 땅(戊)에 철금속(申)이 묻혀있는 일주인 식신생재(食神生財)격 사주로 평생 먹고사는 데는 지장이 없으며 남에게 베풀며 살아갈 수 있는 사주환경입니다.

식신격 사주는 돈을 쓰면 또다시 생기는 특성으로 돈걱정을 하지 않고 낙천적입니다.

이러한 사주환경으로 무신일주 사주는 타인에게 도움을 주는 것을 좋아하나 때로는 자신도 모르게 타인의 일에 간섭을 하여,

도움을 주고도 좋은 소리를 못듣는 오지랖 넓어서 오히려 그것이 단점이 되는 일주입니다.

사주보완은 지나치게  타인에게 베푸는 것을 피하고 선별적으로 베풀어 덕을 쌓고 남의 일에 간섭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무신일주의 최대 단점은 사주환경이 풍족하므로 타인의 경험을 무시하고 자신만의 주장과 고집을 부려 주변사람들과 인간관계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사주보완은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는 습관을 기르고 매사 겸손하는 마음가짐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 무신일주 여자사주는 신살 고란과숙(孤鸞寡宿)의 사주영향으로 남편과 좋은 관계를 가질 수 없으므로,일찍 결혼하면 거의 이혼할 확률이 높으므로 40대이후에 결혼하는 것이 사주보완방법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합격운 사주,합격운 보는 방법

합격운 사주,합격운 보는 방법 많은 입시생,고시생,취업 준비생들 뿐만 아니라 중년이후 보다나은 노후준비를 위한 자격증을 취득을 준비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많은 경쟁자를 물리치고 선택받는 합격증은 단순히 노력만 의해서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 합격운에 의해 결정되는 것입니다. 그이유는 실기(필기)성적은 객관적인 데이터에 의해 성적순으로 필기합격자로 선발하지만, 필기이후 면접은 면접관의 주관적인 평가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즉 일면식 없는 면접관의 마음을 나에게 옮기게 하는 운의 흐름을 합격운이라 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합격운 사주와 합격운 사주를 보는 방법에 대해 알기쉽게 설명하였습니다. ✅ 내사주 합격운 판별 방법 본인 사주팔자 구성에서 시험운,합격운에 유리한 사주판별 항목으로는 십성의 조합,십이운성 및 신살종류를 구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합격운 사주예시(표1)] 첫째, 십성의 조합 확인 ① 정인,정관 : 정인과 정관의 조합 ② 편인,편관 : 편인과 편관의 조합 ③ 식신,정재 : 식신과 정재의 조합 ④식신,편관 : 식신과 편관의 조합등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이중 가장 합격운에 유리한 조합은 정인과 정관이 본인 사주에 있을 경우에는 시험날짜와 관계없이 사주구성에 특별한 이상이 없는 한 공개채용에 유리한 합격운 사주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본인 사주팔자내의 십성,신살,십이운성 종류를 파악하려면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무료사주풀이 또는  무료만세력 웹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그림1과 같은 만세력 화면이 출력되어 누구나 쉽게 확인가능합니다 . 둘째, 십이운성 종류파악  십성이외에도 본인 사주팔자에 십이운성중  관대,건록,제왕,장생이 있는 경우나 해당 십이운성을 만나는 운(세운,년운)이 합격운이 되는 것입니다. 셋째, 합격에 도움이 되는 신살파악 사주에는 시험에 도움이 되는 신살과 공부에 도움이 되는 신살이 있습니다. 학당귀인은 공부를 좋아하고 공부에 전념하는 신살이나,공부를 잘한다고 합격운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서,...

시주에 정재,편재가 있을경우 사주특성

 ✅시주에 정재,편재가 있을경우 사주특성 년월일시등 4개기둥으로 표현되는 사주팔자(四: 넉 사,柱: 기둥 주,八: 여덟 팔,字: 글자 자)에서 말년,자식운을 의미하는 시주(時柱)에 정재,편개가 있을 경우 나타나는 사주특성과  정재,편재外 정관,편관,식신,상관등 기타 십성이 위치할 경우 나타나는 사주특 성에 대하여 알기쉽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 사주팔자에서 재물을 나타내는 편재와 정재의 의미 사주에 재물을 나타내는 십성인 재성(財星)인 정재(正財),편재(偏財)가 기본적으로 하나정도 있어야 재물운이 있습니다. 사주상담사들이 재성이 없어도 재물을 모으는데 문제가 없다고 말을하지만 이는 상담자를 위로 또는 격려하려는 말일뿐 실제적으로는  살아가는데 정재,편재등의 재성이 없다는 것은 출생부터 남들보다 불리하게 시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말해서 사주팔자에 재성(편재,정재)가 있는 사람은 부모로 부터 토지,아파트등 유산을 받아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것인반면 재성이 없는 사람사주의 경우는 부모의 경제적 도움없이 스스로 돈을 모으거나 대출받아 아파트를 마련하여 힘들게 살아가는 경우입니다. * 무료 만세력설치 사주초보자의 경우 '사주기초용어'나 본인 사주팔자내에 있는 십성,12신살,오행에 대해 쉽게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무료 만세력' 또는 '무료 사주풀이'를 검색하여 다운받아 설치하여 본인의 '생년월일시'를 입력하면 아래 그림1-1과 같은 만세력화면이 나오며 이를 통해 사주초보자도 쉽게 본인 사주팔자에 있는 십성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시지에 편재가 있을경우 사주예시(그림1-1)] ✅ 십성의 위치에 따른 사주특성 사주분석에서 중요한 판단요소인 십성 또는 십신으로 불리는 십성은 우리사주환경에서 열가지 서로다른 사주환경을 제공하며 우리의 사주팔자의 4개기둥 즉,년주,월주,일주,시주 어느곳에 위치하는가에 따라서 같은 십...

대운보는 방법,대운에 정관,편관이 들어왔을 때 사주특성

대운보는 방법,대운에 정관,편관이 들어왔을 때 사주특성 사주팔자를 보는 방법은 선천적인 사주인 사주팔자원국(천간4글자+지지4글자)과  후천적인 운의 흐름인 대운,년운,월운등 삶의 기간별 시기에 따른 운의 흐름인 행운(行運)의 조합으로 운명을 판단합니다. 우리가 흔히 제일 궁금해하는 질문, 즉 "언제 돈을 벌 수 있는가?" 또는 "언제 결혼을 할 수 있는가?"의 기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은 사주팔자원국을 기초로 하고 10년마다 주기적으로 오는 가장 큰 운의 흐름인 대운(大運)과 년마다 주기적으로 오는 년운,세운으로 불리는 년운(年運),달마다 달라지는 월운(月運)등의 행운을 분석하여 답을 찾는 것입니다. 본 포스팅은 사주초보자도 무료사주풀이 앱을 통한 사주기초용어 대한 개념만 이해해도 누구나 본인사주 대운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알기쉽게 기술 하였습니다. 사주풀이 화면예시/천을귀인(표1-1) * 본 포스팅의 이해를 돕기위해 구글 플레이스토어 마켓에서 '무료사주풀이' 또는 '무료만세력풀이'앱을 다운받아 설치하시고 본인의 생년월일시를 입력하시면 본인 사주원국과 대운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 대운의 의미와 특성,무속인에게 속지 않는 방법 본 포스팅을 통해 무료사주풀이 앱을 기본적으로 활용할 줄 안다면 대운을 빙자한 무속인들의 눈속임에 속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대운의 뜻과 특성 대운의 한자구성은 大(클 대),運(운명 운)의 두글자로 이루어져 '큰 운명'이라고 자의해석되나 여기서 크다는 것은 해마다 돌아오는 년운(年運),달마다 돌아오는 월운(月運)등 행운중에서 가장 기간이 긴 운을 말하는 것으로 크다는 의미보다는 '기간이 길다'는 의미로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運(운)이라는 글자가 운명 운,운 운의 뜻으로 된 연유는 運의 글자를 풀어보면 군대 군(軍)과 받침 변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군마(군대)의 움직임은 전쟁터에서 작전을 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