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신금 일간,일간이 신금인 경우 나타나는 성향과 심리

신금일간,일간이 신금(辛)인 경우 나타나는 성향과 심리

일간이 신금인 경우 예리한 금속처럼 예리하고 예술적, 감성적이며 불의를 참지못하며 굴욕을 당했을 경우 반드시 상대방에게 앙갚음을 하는 특성을 가진 일간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신금일간의 기본적 사주특성과 다른 천간과의 상호작용등을 알아보고 일간이 신금인 경우 나타나는 성향과  심리분석을 통한 사주보완방법에 대해 사주초보자의 눈높이로 알기쉽게 알아보겠습니다.

✅ 신금(辛)의 기본 사주특성

신금일간의 사주특성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신금(辛)이 속한 오행인 금(金)의 사주특성과 신금(辛) 한자의 물상적(物狀的) 특징 및 다른천간과의 상호작용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신금(辛)의 어원과 물상적 특징

사주를 처음 접하시는 분은 철학관이나 명리학을 강의하시는 분이 '갑목' 또는 '병화','정화','임수','계수'라는 낯선 사주용어를 접하시게 될 것이지만 그 용어의 원리를 알면 이해가 쉽습니다.

예를 들어 갑목('갑+목)'이라고 하면 '천간이름+오행이름'으로 '천간 甲과 천간 (갑)의 오행이 ,,,금,수 오행중에 ()'에 해당하므로 이를 줄여 천간 甲(갑)글자를  '갑목'이라고 사주명리학에서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그렇다면 신금(辛)은 천간글자인 '辛(신)+신금의 오행이 금(金)에 해당'한다는 사주용어 줄임말이라는 것을 쉽게 아실것입니다.


[신금 일간(표1)]


천간 신금(辛)은 표1과 같이 한자형태가 머리가 뾰족한 침(針)의 형상을 하고 있는 상형문자로서 천간의 같은 오행인 경금(庚)이 가공되지 않은 바위,철광석을 의미하는반면,신금은 한자형상과 같이 사람에 의해 가공된 금속(보석,예리한 칼,바늘,침,생활가전에 사용되는 금속류)를 의미합니다.

이처럼 신금은 이미 가공되고 완성된 금속제품이기 때문에 더이상 가공되어 지는 것을 싫어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신금은 깨끗하고 군더더기를 싫어하고 자신을 오염시키는 것을 싫어하여 실제 사주특성도 날카롭고 남에게 신세지는 것을 싫어하고 상대방의 단점을 예리하게 찾아내고 비판하는 능력을 가졌습니다.
천간의 의미와 특성
[천간의 의미와 특성(표1-1)]

신금이 속한 오행은  금(金)오행이며,금(金)오행은   위의 표1-1(천간 의미와 특성)와 같이 방향은 서쪽을 의미하고 색상은 검정색,계절은 가을을 의미합니다.
또한 신금(辛)의 물상은  천상(天上,하늘)에서는 서리(霜:서리 상)를 의미하고 지상(土,땅)에선는 가공된 날카로운 금속,보석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오행의 특성을 반영하여 실제 신금을 가진 사주의 사람들은 냉정하고 차갑다는 인상을 줍니다.

✔ 신금(辛)과 다른 천간과의 상호작용

천간 신금과 다른 천간의 상호작용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이 사주내에서 상호작용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辛(신금)+甲(갑목) : 예리한 칼(辛)로 큰 나무인 갑목(甲)을 자를 수 없고 흠집만 낼뿐 정재(正財)에 해당하지만 실제로 재물을 취하는 재성으로서 역할을 하지 못합니다. 반대로 큰바위,철광석에 해당하는 경금(庚)은  큰나무인 갑(甲)을 쓰러뜨릴 수  있으므로 재성(財星)으로 역할을 하여 좋은 역할을 합니다.

辛(신금)+乙(을목) : 곡식과 연약한 화초를 의미하는 을목()이 예리한 칼을 의미하는 신금(辛)이 만난격으로 좋지않은 결합으로 재물이 사방으로 없어지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신금)+丙(병화): 병화()는 태양,햇볕을 의미하여 가공된 금속 보석을 의미하는 신금(辛)을 빛나고 가치있게 해주므로 신금과 병화 천간의 만남은 좋습니다.

辛(신금)+丁(정화) :정화는 병화와 달리 불꽃,열(熱)을 의미하여 가공된 금속인 신금을 녹이는 형상이므로 신금과  정화의 결합은 사주내에서 좋지않습니다.

辛(신금)+戊(무토) : 무토는 토(土)를 대표하는 큰산을 의미하므로 보석,가공된 금속을 의미하는 신금이 커다란 흙더미(산,무토)에 묻혀 그빛을 발하지 못하므로 비록 토생금(土生金:토가 금을 생해주는 오행원리)으로 정인(正印)에 해당하지만 남의 도움이 오히려 해(害)가 되는 것으로 신금과 무토의 결합은 좋지않습니다.

辛(신금)+己(기토) : 위의 무토와 마찬가지로 기토는 土오행에 속하며 논,밭을 의미하는 흙이므로 보석,가공된 금속이 논밭에 파묻힌 격으로 신금과 기토의 천간결합은 좋지않습니다.

辛(신금)+庚(경금) : 경금은 가공되지않은 철광석(원석),바위를 의미하는 금(金)오행으로 같은 금오행이 만나면 좋지않습니다. 즉 강하고 예리한 신금의 성격이 더 강해지는 격입니다.

辛(신금)+辛(신금) : 신금과 신금의 천간글자의 만남은 위의 경금보다 더 강하여 신금의 날카로움과 복수심을 자극하는 결과로 좋지않습니다.

辛(신금)+壬(임수): 임수는 큰강,호수,바다등 지상에 있는 큰물을 의미하여 깨끗하기를 원하는 금속성향인 신금을 더 깨끗하게 해주므로 신금과 임수의 천간글자 만남은 좋은결과를 가져옵니다.

辛(신금)+癸(계수) : 계수는 임수와 같은 水오행이지만 임수와 달리 하늘에서 내리는 서리,비등을 의미하여 보석,가공된 금속인 신금을 임수와 같이 세척해주는 기능이 아니라 오히려 녹슬고 금속을 부식시켜주는 역할을 하므로 신금과 계수 천간글자의 합은 좋지 않습니다.

✅신금(辛)이 일간인 경우 나타나는 사주특성과 사주보완

신금일간 사주예시
[신금일간 사주예시(표1-2)/만세력 천을귀인]


신금일간을 사주에 가진 사람들의 특성은 앞서 신금의 기본사주속성에서 알아보았듯이 다음과 같은 대표적인 사주특성을 나타냅니다.

① 날카롭고 냉정하며 타인이나 조직의 단점이 신금일간의 시각에는 잘 노출되어 비판력이 강합니다.
신금일간을 가진 사람들은 자기일과 관계없는 사회,조직의 부조리를 가만히 두고 보지않고 고치고 개선하려는 성향이 강합니다.
특히 월주(월간,월지)에 신금이 있다면 사회운동가로서 활동을 자처하며 활발한 활동을 합니다.

② 신금일간을 가진 사람들은 멋을 알며 예술적(음악,미술)감각이 뛰어나며,유행을 선도하며 옷을 잘입으며 외모를 중시하고 배우자를 선택시 내면보다는 겉으로 보여지는 모습을 선호합니다.

③ 신금일간은 선민성(選民)기질이 있어 자신이 최고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자기보다 나은사람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성향이 강합니다.

④ 신금일간을 사주에 가진 사람들은 자기보다 재능이 뛰어난 사람들을 인정하지 않지만 자기보다 못한사람이나 자신의 뜻에 따르는 사람들이 재력이나 권력으로 피해를 당하고 있을경우 자신보다 힘이강한 사람,조직일지라도 앞장서서 약자를 보호하는 정의감을 나타냅니다.

⑤ 신금일간은 실리적이고 냉정하게 보이나 약자에게 인정이 많습니다. 특히 자신과 코드가 비슷한 사람들에게는 자신이 손해를 감수하면서까지 도와주는 성향이 있습니다.
이처럼 신금일간은 폼생폼사 경향이 있으며 겉으로는 샤프하게 보이나 실제는 실속을 못차리는 성향이 있습니다.

⑥ 신금일간이 사주에 있는 사람은 매사 정확하고 맺고 끊음이 정확하지만 재물을 모으는 데는 큰 욕심이 없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실제로 신금일간은 자신의 주머니에 돈이 없더라도 동창회나 모임에서 카드를 써서라도 식사비를 앞서 내려는 성향으로 자신의 성급한 행동으로 후회를 많이 하지만 남들에게 비굴한 모습을 보이기를 싫어합니다.

⑦ 신금일간은 조직이나 사회에 대한 비판력 성향으로 직장이나 조직에서 밀려나는 경우가 잦아 밖에서는 멋진사람이지만 정작 가정에서는 경제력이 부족한 사람으로 인식이 되어 남자사주의 경우는  배우자에게 오히려 무시당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⑧ 신금일간을 사주에 가진 사람은 남에게 부당한 일을 당했다고 하면 당장 복수를 할 수 없다면 시간을 두고서라도 반드시 복수를 하는 특성을 가집니다.
마치 유방이 항우 가랑이 밑을 기어갔듯이 신금일간을 가진 사람은 상대방이 현재 힘이 강하다면 상대방에게 오히려 최대한 머리를 조아리다가 결정적으로 기회가 오면 상대방의 치명적인 약점을 잡아 복수하는 기질이 있으므로 이러한 특성은 신금일간이 고쳐야할 최대의 단점이기도 합니다.

🔅 신금일간 사주보완

신금일간의 사주특성을 위에서와 같이 알아본것과 같이 신금일간은 신금의 자의형상(字意形狀:한자 글자모양)처럼 辛(신금)은 실제로 예리한 금속처럼 날카롭고 예민한 성정을 가졌습니다.

이러한 신금의 성정은 사회생활하는데 주머니에 송곳을 넣고 다니는  것(囊:주머니 낭,中:가운데 중,之: 지,錐:송곳 추)과 같이 남에게 상처를 주기도 하지만 자신에게도 상처를 주기도 합니다.

따라서 신금일간의 효과적인 사주보완방법은 자신의  기본성격이 예리하고 날카롭다는것을 스스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즉,말이나 행동이 송곳처럼 날카롭고 예리한 면을 좀더 무뎌지고 부드럽게 만들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또한 신금일간의 전매특허인 나쁜일을가슴속에  오래간직하는 습성을 버려야합니다. 특히 사주팔자중에 십신(십성)편인(偏印)이 있는 사주는 자신에게 상처를 준사람에게 반드시 응징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용서하고 나쁜일은 바로 털어버리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본인 사주를 스스로 알아보겠다는 생각이 든것은 본인 운(運)의 변환점에 왔다는것을 의미합니다.
즉 본인이 자신의 사주팔자를 인지할려고 노력하고 본인에게 주어진 사주팔자를 받아들이고 이해한다는것은 망망대해에서 육지를 발견한 것과 같은 입니다.
또한 한치앞을 예측할 수 없는 불안한 미래의 각종 사건,사고,재해,질병에 대비하여 종합보험을 가입해 둔것과 같은 효과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합격운 사주,합격운 보는 방법

합격운 사주,합격운 보는 방법 많은 입시생,고시생,취업 준비생들 뿐만 아니라 중년이후 보다나은 노후준비를 위한 자격증을 취득을 준비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많은 경쟁자를 물리치고 선택받는 합격증은 단순히 노력만 의해서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 합격운에 의해 결정되는 것입니다. 그이유는 실기(필기)성적은 객관적인 데이터에 의해 성적순으로 필기합격자로 선발하지만, 필기이후 면접은 면접관의 주관적인 평가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즉 일면식 없는 면접관의 마음을 나에게 옮기게 하는 운의 흐름을 합격운이라 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합격운 사주와 합격운 사주를 보는 방법에 대해 알기쉽게 설명하였습니다. ✅ 내사주 합격운 판별 방법 본인 사주팔자 구성에서 시험운,합격운에 유리한 사주판별 항목으로는 십성의 조합,십이운성 및 신살종류를 구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합격운 사주예시(표1)] 첫째, 십성의 조합 확인 ① 정인,정관 : 정인과 정관의 조합 ② 편인,편관 : 편인과 편관의 조합 ③ 식신,정재 : 식신과 정재의 조합 ④식신,편관 : 식신과 편관의 조합등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이중 가장 합격운에 유리한 조합은 정인과 정관이 본인 사주에 있을 경우에는 시험날짜와 관계없이 사주구성에 특별한 이상이 없는 한 공개채용에 유리한 합격운 사주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본인 사주팔자내의 십성,신살,십이운성 종류를 파악하려면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무료사주풀이 또는  무료만세력 웹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그림1과 같은 만세력 화면이 출력되어 누구나 쉽게 확인가능합니다 . 둘째, 십이운성 종류파악  십성이외에도 본인 사주팔자에 십이운성중  관대,건록,제왕,장생이 있는 경우나 해당 십이운성을 만나는 운(세운,년운)이 합격운이 되는 것입니다. 셋째, 합격에 도움이 되는 신살파악 사주에는 시험에 도움이 되는 신살과 공부에 도움이 되는 신살이 있습니다. 학당귀인은 공부를 좋아하고 공부에 전념하는 신살이나,공부를 잘한다고 합격운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서,...

시주에 정재,편재가 있을경우 사주특성

 ✅시주에 정재,편재가 있을경우 사주특성 년월일시등 4개기둥으로 표현되는 사주팔자(四: 넉 사,柱: 기둥 주,八: 여덟 팔,字: 글자 자)에서 말년,자식운을 의미하는 시주(時柱)에 정재,편개가 있을 경우 나타나는 사주특성과  정재,편재外 정관,편관,식신,상관등 기타 십성이 위치할 경우 나타나는 사주특 성에 대하여 알기쉽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 사주팔자에서 재물을 나타내는 편재와 정재의 의미 사주에 재물을 나타내는 십성인 재성(財星)인 정재(正財),편재(偏財)가 기본적으로 하나정도 있어야 재물운이 있습니다. 사주상담사들이 재성이 없어도 재물을 모으는데 문제가 없다고 말을하지만 이는 상담자를 위로 또는 격려하려는 말일뿐 실제적으로는  살아가는데 정재,편재등의 재성이 없다는 것은 출생부터 남들보다 불리하게 시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말해서 사주팔자에 재성(편재,정재)가 있는 사람은 부모로 부터 토지,아파트등 유산을 받아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것인반면 재성이 없는 사람사주의 경우는 부모의 경제적 도움없이 스스로 돈을 모으거나 대출받아 아파트를 마련하여 힘들게 살아가는 경우입니다. * 무료 만세력설치 사주초보자의 경우 '사주기초용어'나 본인 사주팔자내에 있는 십성,12신살,오행에 대해 쉽게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무료 만세력' 또는 '무료 사주풀이'를 검색하여 다운받아 설치하여 본인의 '생년월일시'를 입력하면 아래 그림1-1과 같은 만세력화면이 나오며 이를 통해 사주초보자도 쉽게 본인 사주팔자에 있는 십성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시지에 편재가 있을경우 사주예시(그림1-1)] ✅ 십성의 위치에 따른 사주특성 사주분석에서 중요한 판단요소인 십성 또는 십신으로 불리는 십성은 우리사주환경에서 열가지 서로다른 사주환경을 제공하며 우리의 사주팔자의 4개기둥 즉,년주,월주,일주,시주 어느곳에 위치하는가에 따라서 같은 십...

대운보는 방법,대운에 정관,편관이 들어왔을 때 사주특성

대운보는 방법,대운에 정관,편관이 들어왔을 때 사주특성 사주팔자를 보는 방법은 선천적인 사주인 사주팔자원국(천간4글자+지지4글자)과  후천적인 운의 흐름인 대운,년운,월운등 삶의 기간별 시기에 따른 운의 흐름인 행운(行運)의 조합으로 운명을 판단합니다. 우리가 흔히 제일 궁금해하는 질문, 즉 "언제 돈을 벌 수 있는가?" 또는 "언제 결혼을 할 수 있는가?"의 기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은 사주팔자원국을 기초로 하고 10년마다 주기적으로 오는 가장 큰 운의 흐름인 대운(大運)과 년마다 주기적으로 오는 년운,세운으로 불리는 년운(年運),달마다 달라지는 월운(月運)등의 행운을 분석하여 답을 찾는 것입니다. 본 포스팅은 사주초보자도 무료사주풀이 앱을 통한 사주기초용어 대한 개념만 이해해도 누구나 본인사주 대운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알기쉽게 기술 하였습니다. 사주풀이 화면예시/천을귀인(표1-1) * 본 포스팅의 이해를 돕기위해 구글 플레이스토어 마켓에서 '무료사주풀이' 또는 '무료만세력풀이'앱을 다운받아 설치하시고 본인의 생년월일시를 입력하시면 본인 사주원국과 대운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 대운의 의미와 특성,무속인에게 속지 않는 방법 본 포스팅을 통해 무료사주풀이 앱을 기본적으로 활용할 줄 안다면 대운을 빙자한 무속인들의 눈속임에 속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대운의 뜻과 특성 대운의 한자구성은 大(클 대),運(운명 운)의 두글자로 이루어져 '큰 운명'이라고 자의해석되나 여기서 크다는 것은 해마다 돌아오는 년운(年運),달마다 돌아오는 월운(月運)등 행운중에서 가장 기간이 긴 운을 말하는 것으로 크다는 의미보다는 '기간이 길다'는 의미로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運(운)이라는 글자가 운명 운,운 운의 뜻으로 된 연유는 運의 글자를 풀어보면 군대 군(軍)과 받침 변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군마(군대)의 움직임은 전쟁터에서 작전을 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