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도시개발법알아보기(2):비도시지역에서 도시개발사업시행

 

■ 도시개발법이란?

도시개발법은 택지개발촉진법에 의한 공공주택공급방식의 한계를 느끼고 2000.1.28일자로 제정된 도시개발법으로 과거 수용방식 관주도 개발이 아닌 토지소유자 중심,민간 시행자 사업시행 활성화가 시작되었습니다.




이에 따른 주요개정연혁을 알아보면,




,

○ 2000.01.28 : 도시개발법 제정(법률 제6242호)

○2007.04.11: 민간 시행자가 토지를 수용 또는 사용하고

자 하는경우 토지소유자 동의요건완화(기존 2/3에서

1/2이상으로 변경)

○ 2009.12.29 : 토부장관 승인권 폐지,인구 50만명이상

대도시 시장의 구역지정권부여

○2015.08.11 : 도시개발사업 대행개발허용,공공기관의 공

모형 원형지공급허용


도시개발은 용어자체로 도시지역에 시행하나 도시개발법시행령 제2조 2하에 의거 예외적으로 비도시지역에도 도시개발사업을 시행합니다.


이에 대한 관계법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도시개발법시행령


2(도시개발구역의 지정대상지역 및 규모)2의 2~3

 

② 자연녹지지역생산녹지지역 및 도시지역 외의 지역에 도시개발구역을 지정하는 경우에는 광역도시계획 또는 도시ㆍ군기본계획에 의하여 개발이 가능한 지역에서만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지정하여야 한다다만광역도시계획 및 도시ㆍ군기본계획이 수립되지 아니한 지역인 경우에는 자연녹지지역 및 계획관리지역에서만 도시개발구역을 지정할 수 있다. <개정 2010. 6. 29., 2012. 4. 10., 2013. 3. 23.>

③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으로서 법 제3조에 따라 도시개발구역을 지정하는 자(이하 "지정권자"라 한다)가 계획적인 도시개발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지역에 대하여는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제한을 적용하지 아니한다<개정 2013. 3. 23.>

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37조제1항에 따른 취락지구 또는 개발진흥지구로 지정된 지역

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51조에 따른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된 지역





법률제6655(2002.2.4)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

  종전에는국토를도시지역과비도시지역으로구분하여도시지역에는도시계획법비도시지역에는국토이용관리법으로 
이원화하여운용하였으나국토의난개발(亂開發문제가대두됨에따라 2003 1 1일부터는도시계획법과국토이용관리법을
비도시지역에도 도시계획법에 의한 도시계획기법을 도입할 수 있도록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을 제정함으로써 국토의 계획적
·체계적인 이용을 통한 난개발의 방지와 환경친화적인 국토이용체계를 구축하려는 것
종전의국토이용관리법의적용대상이었던비도시지역에대하여도종합적인계획인도시기본계획및도시관리계획을수립하도록 
함으로써계획에따라개발이이루어지는「선계획후개발」의국토이용체계를구축함(법제18조및제24).



■ 도시개발법에 의한 사업 장점



도시개발의 장점은 기존도시의 기반시설을 그대로 활용하여시행하는 방식으로 기존 재개발등이 10년이상
소요되는 것에 비하여 사업기간이 3년이내로 단축되고.
(구역지정후 3년이내에 시행하지 않으면 지정취소)

50만 대도시의 경우 시장이 지구지정을 자체적으로 할 수 있음(2009.12.29 법률 제9862호) 따라서 기존사업보다

기간면에서 사업기간이 단축되고 수용방식이 아닌 환지,대토방식으로 토지를 매입하므로 원주민과 지주들과의 마찰이

최소화할 수 있어서 정부도 3기신도시부터 도시개발법에 의한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도시개발의 시행방식


1. 환지방식

- 대지로서 효용증진과 공공시설의 정비를 위하여 토지의 교환.분합 기타의 구획변경,또는 형질의

변경이나 공공시설의 설치.변경이 필요한 경우 또는 도시개발사업을 시행하는 지역의 지가가

인근의 다른 지역에 비하여 현저히 높아 수용 또는 사용방식으로 시행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2. 수용 또는 사용방식

-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도시개발등 집단적인 조성과 공급이 필요한 경우


3. 혼용방식

-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하고자 하는 지역이 부분적으로 환지 또는 수용방식에 해당하는 경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합격운 사주,합격운 보는 방법

합격운 사주,합격운 보는 방법 많은 입시생,고시생,취업 준비생들 뿐만 아니라 중년이후 보다나은 노후준비를 위한 자격증을 취득을 준비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많은 경쟁자를 물리치고 선택받는 합격증은 단순히 노력만 의해서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 합격운에 의해 결정되는 것입니다. 그이유는 실기(필기)성적은 객관적인 데이터에 의해 성적순으로 필기합격자로 선발하지만, 필기이후 면접은 면접관의 주관적인 평가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즉 일면식 없는 면접관의 마음을 나에게 옮기게 하는 운의 흐름을 합격운이라 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합격운 사주와 합격운 사주를 보는 방법에 대해 알기쉽게 설명하였습니다. ✅ 내사주 합격운 판별 방법 본인 사주팔자 구성에서 시험운,합격운에 유리한 사주판별 항목으로는 십성의 조합,십이운성 및 신살종류를 구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합격운 사주예시(표1)] 첫째, 십성의 조합 확인 ① 정인,정관 : 정인과 정관의 조합 ② 편인,편관 : 편인과 편관의 조합 ③ 식신,정재 : 식신과 정재의 조합 ④식신,편관 : 식신과 편관의 조합등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이중 가장 합격운에 유리한 조합은 정인과 정관이 본인 사주에 있을 경우에는 시험날짜와 관계없이 사주구성에 특별한 이상이 없는 한 공개채용에 유리한 합격운 사주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본인 사주팔자내의 십성,신살,십이운성 종류를 파악하려면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무료사주풀이 또는  무료만세력 웹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그림1과 같은 만세력 화면이 출력되어 누구나 쉽게 확인가능합니다 . 둘째, 십이운성 종류파악  십성이외에도 본인 사주팔자에 십이운성중  관대,건록,제왕,장생이 있는 경우나 해당 십이운성을 만나는 운(세운,년운)이 합격운이 되는 것입니다. 셋째, 합격에 도움이 되는 신살파악 사주에는 시험에 도움이 되는 신살과 공부에 도움이 되는 신살이 있습니다. 학당귀인은 공부를 좋아하고 공부에 전념하는 신살이나,공부를 잘한다고 합격운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서,...

시주에 정재,편재가 있을경우 사주특성

 ✅시주에 정재,편재가 있을경우 사주특성 년월일시등 4개기둥으로 표현되는 사주팔자(四: 넉 사,柱: 기둥 주,八: 여덟 팔,字: 글자 자)에서 말년,자식운을 의미하는 시주(時柱)에 정재,편개가 있을 경우 나타나는 사주특성과  정재,편재外 정관,편관,식신,상관등 기타 십성이 위치할 경우 나타나는 사주특 성에 대하여 알기쉽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 사주팔자에서 재물을 나타내는 편재와 정재의 의미 사주에 재물을 나타내는 십성인 재성(財星)인 정재(正財),편재(偏財)가 기본적으로 하나정도 있어야 재물운이 있습니다. 사주상담사들이 재성이 없어도 재물을 모으는데 문제가 없다고 말을하지만 이는 상담자를 위로 또는 격려하려는 말일뿐 실제적으로는  살아가는데 정재,편재등의 재성이 없다는 것은 출생부터 남들보다 불리하게 시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말해서 사주팔자에 재성(편재,정재)가 있는 사람은 부모로 부터 토지,아파트등 유산을 받아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것인반면 재성이 없는 사람사주의 경우는 부모의 경제적 도움없이 스스로 돈을 모으거나 대출받아 아파트를 마련하여 힘들게 살아가는 경우입니다. * 무료 만세력설치 사주초보자의 경우 '사주기초용어'나 본인 사주팔자내에 있는 십성,12신살,오행에 대해 쉽게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무료 만세력' 또는 '무료 사주풀이'를 검색하여 다운받아 설치하여 본인의 '생년월일시'를 입력하면 아래 그림1-1과 같은 만세력화면이 나오며 이를 통해 사주초보자도 쉽게 본인 사주팔자에 있는 십성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시지에 편재가 있을경우 사주예시(그림1-1)] ✅ 십성의 위치에 따른 사주특성 사주분석에서 중요한 판단요소인 십성 또는 십신으로 불리는 십성은 우리사주환경에서 열가지 서로다른 사주환경을 제공하며 우리의 사주팔자의 4개기둥 즉,년주,월주,일주,시주 어느곳에 위치하는가에 따라서 같은 십...

대운보는 방법,대운에 정관,편관이 들어왔을 때 사주특성

대운보는 방법,대운에 정관,편관이 들어왔을 때 사주특성 사주팔자를 보는 방법은 선천적인 사주인 사주팔자원국(천간4글자+지지4글자)과  후천적인 운의 흐름인 대운,년운,월운등 삶의 기간별 시기에 따른 운의 흐름인 행운(行運)의 조합으로 운명을 판단합니다. 우리가 흔히 제일 궁금해하는 질문, 즉 "언제 돈을 벌 수 있는가?" 또는 "언제 결혼을 할 수 있는가?"의 기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은 사주팔자원국을 기초로 하고 10년마다 주기적으로 오는 가장 큰 운의 흐름인 대운(大運)과 년마다 주기적으로 오는 년운,세운으로 불리는 년운(年運),달마다 달라지는 월운(月運)등의 행운을 분석하여 답을 찾는 것입니다. 본 포스팅은 사주초보자도 무료사주풀이 앱을 통한 사주기초용어 대한 개념만 이해해도 누구나 본인사주 대운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알기쉽게 기술 하였습니다. 사주풀이 화면예시/천을귀인(표1-1) * 본 포스팅의 이해를 돕기위해 구글 플레이스토어 마켓에서 '무료사주풀이' 또는 '무료만세력풀이'앱을 다운받아 설치하시고 본인의 생년월일시를 입력하시면 본인 사주원국과 대운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 대운의 의미와 특성,무속인에게 속지 않는 방법 본 포스팅을 통해 무료사주풀이 앱을 기본적으로 활용할 줄 안다면 대운을 빙자한 무속인들의 눈속임에 속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대운의 뜻과 특성 대운의 한자구성은 大(클 대),運(운명 운)의 두글자로 이루어져 '큰 운명'이라고 자의해석되나 여기서 크다는 것은 해마다 돌아오는 년운(年運),달마다 돌아오는 월운(月運)등 행운중에서 가장 기간이 긴 운을 말하는 것으로 크다는 의미보다는 '기간이 길다'는 의미로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運(운)이라는 글자가 운명 운,운 운의 뜻으로 된 연유는 運의 글자를 풀어보면 군대 군(軍)과 받침 변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군마(군대)의 움직임은 전쟁터에서 작전을 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