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토일간,무토 사주특성 무토(戊)는 오행 토(土)중에서 술토(戌),미토(未)와 함께 습기가 없고 건조한 토양으로 곡식이나 식물이 자랄 수 없는황무지,큰산을 의미합니다. 토는 땅,흙으로 본래의 목적은 곡식이나 식물을 자랄 수 있게 하는 터전을 조성하는 것이 목적인데 황무지를 의미하는 무토(戊)가 사주에 있는 경우 나타나는 사주특성과 사주부작용에 대한 보완방법에 설명하였습니다. ✅ 무토의 기본 사주속성 천간글자 무토의 오행은 土(토)에 해당하며 양의 성질을 가지며 건조한 토양을 대표하고 ,천간글자 기토(己)는 음의 성질을 가지며 곡식이나 식물들이 좋아하는 습토(濕土)에 해당합니다. -건조한 토양인 무토는 지지글자 음력 6월에 해당하는 미토(未)와 9월에 해당하는 술토(戌)와 함께 사주환경에서 건토로서 역할을 합니다. 즉 건토의 역할은 戊(무토)와 戌(술토)는 물의 범람을 막아주는 제방역할을 하며,물이 제대로 흐를 수 있는 물길의 역할을 합니다. 또한 방수,방풍,보온,제습의 역할을 하여 사주팔자에 수(물)이 많거나 겨울철에 태어난 사람들에게 무토와 술토는 사주환경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무토의 형상은 중립,중앙,대지,가옥,건축,제방,부동산,온천,토목건설업,토목,석재,자갈,큰바위산,황무지로 표현합니다. 실제 사주에서 무토일간이나 무토를 사주에 가진 사람들은 크고 호방하며 통이 크며 이익을 쫒지 않고 대범한 사주특성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이러한 사주특성은 실리가 부족하여 남에게 이용당하거나 남에게 보여주는 체면치레로 경제적으로 힘들게 만드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무토는 토(土)오행중 맏형격으로 타인에게 큰산처럼 듬직한 사람으로 인식이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 무토는 움직임이 가볍지 않으며 듬직하나 활동성이 부족하고 융통성이나 유연성이 부족하고 자기주관이 강합니다. ✅ 무토가 사주에 있는 경우 나타나는 사주특성 듬직한 남자의 표상인 무토일간은 말수가 적으나 맏형처럼 자신을 믿고 ...
알기쉬운 초보자 눈높이에 맞춤형으로 누구나 쉽게 자신의 사주에 대해 이해하고, 본인 스스로 본인 사주를 볼 수 있습니다